사이트맵 ×

토탈산업
hpf미네랄스
현대보테코
K쇼배너

기업과인물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전 세계로 입지를 다져 나가는 ㈜우진플라임, K-SHOW에서 ‘스마트 기술로 연결하는 순환의 미래’를 제시할 계획!   자동차, 가전 및 전자제품, 화장품 등 전방위 산업군에서 플라스틱 제품 생산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이하 우진플라임)이 순환경제, 스마트 기능, 상생이라는 키워드로 K-SHOW에서 ‘스마트 기술로 연결하는 순환의 미래’를 선보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탄탄히 쌓아 올린 우수한 기술력으로 사출성형품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동사는 2025년 10월 8일(수)부터 15일(수)까지 독일 메세 뒤셀도르프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K-SHOW에 TL300A5-2K-W(턴테이블 발포성형(클린폼) 2K 전용기), TE250NC(절전형 2K 전동식 사출성형기), SFV 2400(미드솔(Mid-sole) 발포성형 전용기), VH100RA5(자중(自重) 형폐방식 수직 절전형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 등 총 4종의 제품을 출품하며 우진플라임만의 스마트한 솔루션으로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예정이다. 기술 중심의 글로벌 경영으로 사출성형기를 선도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은 현재 스마트 자재관리, 판금, 주조, 가공, 도장, 스크류 및 바렐 생산과 조립에 이르기까지 모든 제조 공정을 내재화함으로써 제조 품질 향상에 힘쓰며, Super-Foam/Clean-Foam과 같은 저압미세물리발포 기술을 개발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 ‘친환경’적인 요소까지 접목해 사출성형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 ‘상생’에 중점을 두고, ‘스마트 기술로 연결하는 순환의 미래’를 세계 시장에 선보일 ‘우진플라임’! ‘순환경제’, ‘스마트 기술’, ‘상생’이라는 키워드로 ‘스마트 기술로 연결하는 순환의 미래’를 선보이고 있는 우진플라임이 이번에는 세계 시장으로 나선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  우진플라임은 2025년 10월 8일(수)부터 15일(수)까지 독일 메세 뒤셀도르프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K-SHOW에서 TL300A5-2K-W(턴테이블 발포성형(클린폼) 2K 전용기), TE250NC(절전형 2K 전동식 사출성형기), SFV 2400(미드솔(Mid-sole) 발포성형 전용기), VH100RA5(자중(自重) 형폐방식 수직 절전형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 등 총 4종의 제품을 출품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3년마다 열리는 세계 최고의 플라스틱 및 고무산업 박람회로 평가받고 있는 K-SHOW는 기초소재부터 설비, 공정, 응용까지 전 산업의 밸류 체인을 실물로 연결하며, 제품 기획부터 공정 설계, 시장 전략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전 세계 60개국, 3,0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순환 경제 구축, 디지털 전환, 사회적 책임 실현’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K-SHOW에서 우진플라임은 스마트 AI 사출 기능 ‘PLAIMM-X’, CXP, 재활용 수지를 활용한 기술 등 지속 가능성과 생산 효율을 모두 아우르는 미래형 사출성형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우진플라임의 TL300A5-2K-W(Clean-Foam)>  우진플라임이 이번에 전시하는 제품은 총 4기종으로 TL300A5-2K-W(Clean-Foam)(턴테이블 발포성형(클린폼) 2K 전용기)는 타이바레스 기종으로 금형 및 코어풀 크기 선정의 자유, 멀티 캐비티 사용의 자유, 자동화 시스템 고도화의 자유, 공간상 제작으로부터의 자유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로봇의 취출 시간을 단축시키고, 두 가지 색상 조합이 가능해(2K 기종)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구현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도 개별 부품 사출 후,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효율이 향상된 이 제품은 재생수지를 Core에 사출해 재료비도 절감시킬 수 있다.  TL300A5-2K-W(Clean-Foam)는 특히, 화장품, 생필품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사출성형기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진플라임의 SFV2400>  SFV2400(미드솔(Mid-sole) 발포성형 전용기는 C-frame 방식의 유압식 형체장치부에서 전동식 로터리 테이블, Full electric 방식의 사출장치 멀티스테이션 금형 부착이 가능한 발포성형 전용 특수기로, 용융 수지와 물리 발포 가스(Gas)의 비율을 조절해 70~85% 발포성형이 가능하며, 소요되는 원재료의 양을 줄여 적은 양의 원재료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출 대비 낮은 히터 온도, 형체&사출압력 사용으로 에너지 절감에 탁월하며, 저압(~10Mpa)의 물리발포를 사용해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치 않고, 스크류 및 배럴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적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우진플라임의 TE250NC>  기존 하이브리드 이중이색 사출성형기 대비, 더욱 정밀하고 빠른 동작을 제공하는 전동식 사출기인 TE250NC(절전형 2K 전동식 사출성형기)는 각 부위별 독립적인 서보모터 제어를 통해 전체 구동 제어, 동시동작이 가능해 공정속도를 높이고 다양한 기능 적용이 가능하다. 한 기계에서 2가지 다른 종류의 소재를 동시에 사출할 수 있어 제품생산 공정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했으며, 특히, 화장품 용기나 스푼, 밀폐용기, 접시 등과 같은 생필품을 생산하는 데에 탁월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우진플라임의 VH100RA5>  마지막으로 출품예정인 VH100RA5(자중(自重) 형폐 방식 수직 절전형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는 서보모터에 의한 회전 방식으로 정밀한 턴테이블 제어가 가능하며, 고효율 서보펌프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및 작동유 소모를 동시에 줄여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한 자중(自重) 형폐 시스템을 도입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했으며, 엔진, 루플랙, 배터리 케이스 등 자동차 부품과 TV, 냉장고 등 전자제품 제작에 탁월한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우진플라임의 PLAIMM-X(AI 스마트 솔루션)! 우진플라임은 이미 지난 KOPLAS 2025와 BUTECH 2025 등 다양한 전시회에서 스마트 기능(PLAIMM-X)을 접목한 시연을 선보이며,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발판을 탄탄히 다져왔다. 이번 K-SHOW에서 선보일 우진플라임의 PLAIMM-X는 총 8가지로 구성돼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그 중 주요 기능들이 먼저 시연된다.(인공지능 조건 도출 시스템과 체크링 예지보전 기능은 현재 고도화가 진행 중으로, 향후 단계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 스마트 중량제어(PLAIMM-X Weight Control): 작동유 온도, 수지점도 마모도 등 중량 편차 요소를 스마트 기능으로 해결 / 특수 소재 사출성형시 품질안전성 향상 / 스마트 기능을 이용한 균일한 ‘사출중량’ 확보 가능 / 스크류 위치에 따른 사출력 계산 - 인공지능 조건 도출 시스템: 학습된 AI가 세팅값 제안 / 금형 교체, 자동운전시 유용 / CMS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의 세팅값 변경 용이 / 생산성 향상 기여 - 체크링 예지보전(Checkring Monitoring): 체크링 마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체시점 알림 / 양산 중 보압구간에서 역률 자동 측정 / 제조 원가와 관리 공수 절감 및 GF 함유 수지제품 생산에 유리 - 통합정보수집모듈(EDGE Controller): 사출기와 주변 기기들을 통신으로 연결 / 컨트롤러에서 모니터링, 설정값 변경 가능 / Ethernet, RS-485 방식 지원 -유지관리편의(Machine Test): 정도검사 자동진행 후 검사성적서용 정보 제공 / 사출 및 형체 속도 & 압력 검사 가능 / 설정값에 따라 테스트 진행 후 결과 표시 - 에너지절감(Energy Monitoring): 생산 부품별 에너지 비용 계산 / 전체 공정동안 에너지 소비값 비교 /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분석에 효과적 - 플래시 모니터링(Flash Monitoring): 사출 및 보압시 금형의 열림량을 시스템 측정 / 버(Burr) 발생 여부 판단 후에 사용자에게 알림 - 형체력 최적화: 금형의 열림량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형체력을 시스템이 설정 / 최적의 형체적 적용으로 전력 소비량 감소 / 금형의 마모 감소로 금형 수명 연장 가능     이처럼 유압식, 전동식, 입형식, 다중다색, Super-Foam, Clean-Foam 등 다양한 사출성형기 제품 라인업과 고객 맞춤형 특수 사출성형기를 커스터마이징 제작할 수 있는 사출성형업계의 국내 선도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우진플라임의 스마트 AI 사출 기능 ‘PLAIMM-X’, CXP, 재활용 수지를 활용한 기술 등 지속 가능성과 생산 효율을 모두 아우르는 미래형 사출성형 솔루션은 독일 뒤셀도르프 전시장 Hall 15 D-58에서 만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https://www.k-online.com/ (K-SHOW 홈페이지)나 우진플라임 본사를 비롯한 영업본부에 문의 가능하다.     ■ 문의: ㈜우진플라임 본사 043-540-9000 / https://woojinplaimm.com             경인영업본부: 032-580-8377 / 경기영업본부: 031-559-8561             경기북부영업본부: 031-541-8771 / 충청영업본부: 041-544-9541~2             영남영업본부: 051-831-3504 / 경북영업본부: 054-975-8044             김해영업본부: 051-971-9650 / 호남영업본부: 062-955-7534             부천영업센터: 032-675-4748 / 경주영업센터: 054-777-7688             평택영업센터: 031-359-8561 
이명규 기자 2025-08-25
기사제목
나우로보틱스, 인하대와 차세대 휴머노이드 구동모듈용 고정밀 감속기 공동개발 착수   – 차세대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고정밀 구동모듈용 신개념 감속기 공동개발- 로봇 구동계의 핵심 경쟁력- 산업용 휴머노이드 적용 예정   나우로보틱스, 인하대와 차세대 휴머노이드 구동모듈용 고정밀 감속기 공동개발 착수   로봇 전문기업 나우로보틱스(대표 이종주)가 인하대학교(이철희 교수)와 함께 차세대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고정밀 구동모듈용 신개념 감속기 공동개발에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산학협력은 기존 정밀 감속기 구조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도·내구성·경량화 측면에서 획기적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신개념 감속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나아가 해당 감속기를 기반으로, 구동 모터와 제어기를 일체화한 통합형 구동모듈로 확장 개발하여 휴머노이드는 물론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차세대 구동계 플랫폼으로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나우로보틱스는 자체 보유한 혁신적 메커니즘 설계를 바탕으로, 고속·고토크 환경에서도 정밀하고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감속기 설계를 주도하며, 인하대는 구조 해석, 정밀공학, 운동 특성 분석 등 이론적 지원과 프로토타입 성능 검증을 맡는다.   이번에 개발되는 감속기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차별성과 장점을 바탕으로 기존 고정밀 감속기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 반복 사용 시 위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백래시(데도이탈)’ 현상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정밀도와 토크 강성을 기존 대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중·저속 영역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미세 위치 흔들림 문제를 해소하고▲저 감속비 영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감속기의 성능적 한계를 전방위적으로 극복한다.   나우로보틱스 관계자는 “기존 정밀 감속기들은 반복 내구성이나 초정밀 정지 제어 측면에서 명확한 한계를 보여왔다”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기존 제품과는 전혀 다른 구조적 원리를 적용한 고신뢰 고정밀 감속장치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로봇 구동계의 핵심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감속기는 단순히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부품을 넘어,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전기차(EV),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등 고정밀 구동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존 글로벌 감속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나우로보틱스는 이를 통해 글로벌 정밀 구동계 시장에서 기술적 자립과 시장 대체 가능성을 본격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해당 구동모듈은 향후 나우로보틱스가 DGIST와 공동 개발 중인 산업형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플랫폼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회사는 이번 개발을 통해 감속기, 제어기, 서보모터가 통합된 일체형 구동모듈 기술을 확보하고, 전체 시스템의 국산화율을 극대화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인하대 이철희 교수는 “기계구조 및 운동 특성 측면에서 기존 감속장치와는 차별화된 설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양 기관이 보유한 설계·제어·해석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나갈 것”이라며, “이번 협력은 단순한 부품 개발을 넘어 차세대 로봇 구동 시스템의 구조적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는 도전이며, 실제 제조 현장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핵심 부품의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대자동차에서 실무를 경험한 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IUC)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07년부터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산업체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정부과제와 산학협력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   특히 기계설계 및 가상제품개발 분야에서 축적된 연구 역량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공동개발에서 혁신적인 감속기 메커니즘 설계와 가상 성능 검증을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나우로보틱스는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초정밀 기구설계 기술   ▲경량 고강성 구조 설계   ▲고효율·고토크 메커니즘   ▲AI기반 통합 제어 모듈 기술 등을 확보하고,2026년까지 차세대 산업형 휴머노이드 로봇의 핵심 파트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왼쪽(나우로보틱스 이종주 대표이사), 오른쪽(인하대 이철희 교수)     [ 문의]  나우로보틱스 영업기획팀박찬양 선임매니저 (010-3401-3453 / cy.park@naurobot.com) 
편집부 2025-08-19
기사제목
- 이번 K 2025 전시 부스에서 추가 제품군도 선보일 계획 한국신소재산업㈜(대표이사 최양원 www.kkamco.com 이하 한국신소재산업)은 새로운 기술을 선도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1989년에 창업하여 지금까지 열정을 다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신소재산업은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 온도조절기, 마이크로 블라스팅 표면 처리,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기술을 선도해왔으며, 스위스 Fondarex 진공 장비, 스위스 Regloplas 금형 온도조절기, 스위스 Iepco 마이크로 블라스팅, 독일 KMA 정진기식 필터 등 세계 최고의 회사들과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에 세계 최고의 기술들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위스 Regloplas 사의 금형 온도조절기의 국내시장 도입에 매진하고 있는 가운데, 오는 10월 8일부터 1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는 K 2025 전시회에 Regloplas 사가 참가해 실제 부스에서 시연되는 제품 및 추가 제품군을 만나 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전망이다. Reglopals 사 본사전경 Regloplas 사는 스위스에서 1961년 설립되어 64년 이상 산업용 온도조절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세계 최고의 온도조절기 회사로, 세계 50여 개국에 지사와 대리점을 확보하여 연간 약 8,000대 이상의 온도조절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다이캐스팅, 플라스틱 사출, 이차전지, 식품, 대학교 연구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오일 온도조절기와 온수 온도조절기를 공급하여 제품 품질 향상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신소재산업은 Regloplas 사의 한국 독점 대리점으로 30년 이상 한국에서 온도조절기를 공급해오고 있으며, 국내에서 100% 수리 및 기술대응이 가능하다. 고온 온수 온도조절기 Regloplas 사의 사업영역은, 최대 온도 230℃ 고온 온수 온도조절기, 최대 온도 350℃ 고온 오일 온도조절기, 일반 온수 온도조절기, 오일 온도조절기, 칠러, 스마트 분배기 등 추가 솔루션 등이며, 최근 한국신소재산업은 최대 온도 230℃ 온수 고온 온도조절기의 국내시장 진입에 매진하고 있다.  고온에서 열전달 유체를 오일이 아닌 ‘가압된 물’을 사용하는 고온 온수 온도조절기는 오일이 아닌 물을 이용해서 세계 최고 수준의 230℃까지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물을 이용해서 최대 몇 도까지 온도 제어가 가능한지로 온도조절기 회사의 기술력이 평가되며, Regloplas 사의 고온 온도조절기는 가압하여 100℃ 이상에서 물을 스팀 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금형 온도를 제어한다.  Regloplas 사의 최대 온도 230℃ 고온 온수 온도조절기는 ■ 물의 우수한 열전달 특성 활용 ■ 최대 230°C의 넓은 온도 범위 ■ 자체 개발한 능동 압력 제어 시스템 ■ 공기와의 접촉 없는 밀폐형 시스템 ■ 친환경 열전달 매체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다이캐스팅,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식품 가공, 메디컬, 이차전지, 반도체(클린룸)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온수 고온 온도조절기  100℃ 이상에서도 액체 상태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온수 고온 온도조절기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물의 포화 증기압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는데, 외부 압력이 증기압보다 높으면 물은 증발하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외부 압력이 증기압보다 낮으면 물은 증발하게 된다. 이때 물의 끓는점은 포화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지는 온도를 의미하며, 온수 고온 온도조절기는 장치 내부의 압력(시스템 압력)을 높여 물의 끓는점을 100℃ 이상으로 올림으로써, 고온에서도 물이 증발하지 않고 액체 상태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온수 고온 온도조절기는 시스템 압력을 적극적으로 제어해 모든 상황, 조건, 온도 상태에서 시스템 압력은 증기압 곡선 위에 유지되어야 한다. 온도조절기의 압력은 항상 사전에 설정된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자동으로 유지되며, 이는 Regloplas 사가 자체 개발한 제어 보드와 프로그램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된다. Regloplas 사의 온도조절기는 전용으로 개발된 전자 장치, 센서, 액추에이터, 펌프, 가열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시스템 압력의 안정적인 제어는 온수 고온 온도조절기의 핵심 요소이며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온수 온도조절기의 최대 온도는 온도조절기 회사 기술력의 지표이며, Regloplas 사는 세계 최고 온도인 230℃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오일 온도조절기 대신 온수 온도조절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열용량에 있어서 물의 비열 용량은 오일보다 약 2~3배 높다. 이는 열전달 유체가 운반할 수 있는 열에너지의 양을 결정하며, 그 결과 가열과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된다. 또 열전달에 있어서 물의 열전달 계수는 오일보다 약 2배 높다. 이는 금형의 냉각채널에서 열에너지 전달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 온도 제어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물은 탄화되거나 코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열 용량을 갖춘 온도제어장치를 설계할 수 있으며, 물은 불연성이므로 오일과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안전성을 제공한다. 인화 가능성이 없으므로 화재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불어 물은 취급과 폐기가 완벽하게 안전하므로 환경적으로도 장점이 있으며, 물은 인체에 해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EHS)할 수 있어 메디컬, 화장품, 클린룸 등 제조 환경이 중요한 경우 오일이 아닌 물 사용 시 매우 유리하다. P200XL 이번 K 2025 전시회 Regloplas 사 부스에서는 금형 온도조절기 추가 솔루션이 선을 보일 전망이다.  먼저, 최대 200°C의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의 가압용수 초고온 온수 온도조절기 ‘P200XL’의 경우에는 RT200 제어 시스템, 최대 500l/min의 높은 유량을 자랑하는 펌프, 스케일 최소화 냉각시스템  SK / 2SK / 3SK, 압력 제어, 콘텍트 방식 히팅 대신 SSR 방식 히팅 채용 등을 자랑하며, 대형 사출기 및 다수 캐비티 금형 온도 제어 공정에 적용되는 제품이다. Multiflow XL 더불어 새롭게 선보이는 추가 솔루션인 Regloplas 사의 멀티 플로우 분배 시스템 ‘MultiFlow XL 180’은 센서, 모니터링, 디스플레이 및 컨트롤러가 있는 온도제어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어 있으며, 각 회로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 최대 180°C의 온수 스마트 분배 시스템– 온도조절기 당 10개의 온도조절 채널– 채널당 유량 0.3l/min~50l/min– 채널당 통합 온도 측정– 채널당 내구성 있는 통합 유량 측정(초음파 측정 시스템)– 고품질 스테인리스 스틸 배관– 채널 제어(Delta-T, 유량)– 제어 시스템 RT100 및 RT200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냉수온수 순간 전환 장치 이와 함께 ‘VARIO 냉수/온수 순간 전환 장치’의 경우, 개선된 표면 품질, 표면 마감 공정 절감, 용접선 없음, 복잡한 캐비티의 빠른 충전, 사이클 타임 단축, 작업 공정 감소, 에너지 소비 절감 등을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계는 무한경쟁시대로 경쟁 대열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고품질 제품생산, 생산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최고의 장비와 기술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국신소재산업은 다이캐스팅과 사출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과 장비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품질 혁신,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작업환경 개선 등을 이루어 고객사들이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다.      
이용우 2025-07-31
기사제목
- AI 기반 비전 검사 토털 솔루션 INTIVI 시리즈 중 처음으로 ‘금형 모니터링 장비’ 특허 출원- 효율적이고 편리한 금형 감시와 함께 검사 기능을 포함, 완벽한 금형 보호 실현 올 상반기 KOPLAS 전시회에 전시했었던 ㈜인티맥스(대표이사 곽철우 www.intimaxinc.com 이하 인티맥스)의 AI 기반 비전 검사 토털 솔루션 INTIVI 시리즈 중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인 ‘INTIVI-MM’에 대한 특허 취득이 최근 결정됐다. (출원번호: 10-2024-0077653)  인티맥스가 개발한 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금형 감시와 더불어 제품 양·불 검사 기능까지 가능한 금형 감시 장비 ‘INTIVI-MM’은 자주 금형 교체와 함께 그때마다 작업자가 조작하기 힘든 사출성형업체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제품으로, 금형을 교체하는 데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카메라를 장착함과 더불어 금형 교체 후 제품 양산 시작 시점에서 학습 버튼을 눌러 주면 생산된 정상 제품 영상을 자동으로 획득, 학습하며, 설비 가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영상을 축적해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출 현장에서 숙달된 작업자가 아니어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도체 장비 제조기업으로서 꾸준하게 성장해 오다 지난 2023년,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자동화팀을 인수 합병하면서 비전 검사 분야로 사업을 확장, 비전 검사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난 인티맥스는 지난 3월 초 킨텍스에서 개최된 KOPLAS 2025 전시회에 참가해 INTIVI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인티맥스가 그동안 쌓아온 비전 검사 자동화 솔루션 노하우를 활용해 더욱 업그레이드한 ‘INTIVI Series’에는 인티맥스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룰베이스 기반의 ‘AnyLook’ 소프트웨어와 딥러닝 기반의 ‘AIVI’ 소프트웨어가 탑재돼 있으며, 전시회에서 소개된 제품은 이번에 특허를 취득한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인 ‘INTIVI-MM’를 비롯해 여러 색상, 재질 및 크기의 제품들을 하나의 장비로 검사할 수 있는 AI 비전 검사 시스템 장비인 ‘INTIVI-AI’, 그리고 AI 골프공 비전 검사 장비로 유명한 ‘INTIVI-GA’ 등이다. 인티맥스가 기존에 제공해 왔던 ‘FinBOX’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여러 색상, 재질 및 크기의 제품들을 하나의 장비로 검사할 수 있는 AI 비전 검사 시스템 장비인 ‘INTIVI-AI’는 다품종 검사가 가능해 ‘검사-적재-포장’으로 확장이 용이하도록 개발된 장비로써, 정확도 높은 검사 및 안정성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초석이 되는 장비이다.  KOPLAS 2025 인티맥스 전시 부스 AI 골프공 비전 검사 장비로 유명한 ‘INTIVI-GA’는 적재, 비전 검사부터 다양한 유형의 결함 분류까지 처리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제한된 데이터만으로도 다양한 불량 유형 검출이 가능하며, 까다로운 외관 검사까지 할 수 있어 최적의 비전 검사 시스템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INTIVI-MM 이번에 특허 취득에 성공한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 ‘INTIVI-MM’은 INTIVI-MM는 금형 모니터링을 통해 금형 파손, 금형 핀 손상, 제품 인서트 불량, 취출 불량 등 금형 관련사고 등을 방지하여 사출성형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생산성을 높이는 사출성형 공장의 필수 아이템이며, 비전 검사 장비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비전문가도 비교적 쉽게 세팅을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사용자가 학습 버튼을 누르면, 학습에 필요한 영상을 모으며 자동으로 학습을 시작해 학습이 완료되면, 해당 금형에 대한 검사 작업 생성이 완료되는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티맥스 비전사업부 김경환 부문장은 ‘INTIVI-MM’에 대해 “금형 교체가 빈번하고, 저장된 조건과 실제 운영 조건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사출성형 업종에서 혁신적인 금형 모니터링 장비로, 이번 KOPLAS 2025 전시회 때부터 많은 고객의 관심과 문의를 받고 있다”라고 말하며, “사실 국내외 업체 간에 경쟁도 심한 금형 감시 장비를 가지고 매출을 일으켜보자 보다는 우리가 상대적으로 사출 업계 고객사들에 다가가기 좋은 제품이 뭘까? 시장에 바로 내놓을 수 있는 게 뭔가? 예전부터 고민해 오다가 제작한 장비다”라고 덧붙였다. INTIVI-MM은 사용자가 학습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영상 획득 영상 학습  학습 완료 과정을 거쳐 작업이 생성된다.  업계에 형성된 가격대와 기능적인 측면에서 타 사 제품들과의 경쟁에서 인티맥스만이 가지고 있는 축적된 AI 기반 비전 검사 솔루션을 노하우를 활용해 우위를 점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 ‘INTIVI-MM’는 탄생하게 된 것이다. 금형 관련사고를 방지하고 금형을 보호하며, 사출성형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금형 감시 장비는 사출성형 공장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실제 사출 현장에서는 금형 감시 장비를 도입해 초반에는 잘 사용하는데, 사출성형 특성상 자주 금형이 교체하게 되면서 금형 감시 장비를 재세팅 하기도 힘들고, 또 영상 재현성이 떨어져 결국엔 사용을 안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작업자가 계속 바뀌거나 외국인 근로자들이 사출기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금형 감시 장비가 있어도 제대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다. 취출로봇 프레임 부분에 카메라 설치 김경환 부문장은 “현장에서 금형 교체를 위로하는 때도 있지만, 옆으로 하는 때도 있듯이 여러 사항이 생기면 결국에 금형 감시 장비를 옮길 수밖에 없고, 금형 교체 이후에 금형 감시 장비를 다시 설치하면 모니터링하려는 영역에 제대로 세팅하기가 어렵고, 또 성형 공장 환경이 실내이지만 대부분 오픈되어 있어서 아침, 점심, 저녁 밝기가 다 다르고, 조명 밝기도 다르기 때문에 금형 감시 장비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라며, “이에 인티맥스는 이처럼 사출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로봇 프레임에 감시장치를 부착함으로써 금형 감시 장비를 옮기지 않고 금형을 장·탈착할 수 있으며, 또 누구나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INTIVI-MM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타 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미지 저장도 안 돼서 불량이 어디에 얼마나, 무엇 때문에 났는지도 모르겠고, 또 불량 이미지로 판명됐지만, 불량이 아니고 양품인 경우도 있는 데다가 데이터를 등록하고 싶어도 등록이 안 된다고 문의가 온 적도 있다”라며, “INTIVI-MM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뿐만 아니라 분석 기능까지 갖추고 있으며, 모니터링 기능을 외에 외적인 시스템과의 연계 작업까지 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 사출성형기 옆에 스탠드형 비치 금형 모니터링 장비로서의 기능까지는 저렴하게 할 수 있지만, AI 기능이 들어가면 고가의 PC가 포함되어 가격이 상승한다. 하지만, 인티맥스의 경우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와 외부에서 공급받는 PC, 그리고 카메라 가격까지 포함한 가격 기준으로 경쟁사와 유사한 금액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더불어 고가의 PC를 사용하게 되면 PC 하나에서 최대 카메라 12개까지 연결을 할 수가 있으므로 사출성형기 두 대 사이에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 INTIVI-MM 한 대를 설치해 사출기 두 대의 금형을 한 PC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기에 상당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끝으로, 김경환 부문장은 “인티맥스가 이번에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 INTIVI-MM에 대한 첫 특허를 취득한 데 이어 비전 검사 자동화를 선도하는 가장 사용자 친화적이고 차별화된 기술력이 집약된 AI 기반 비전 검사 토털 솔루션 INTIVI series에 대한 특허 획득 및 기술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해 나갈 방침이니, 많은 고객의 관심과 문의가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www.intimaxinc.com   
이용우 2025-07-31
기사제목
- ENGEL 그룹 계열사인 WINTEC의 최신 사출성형기 모델 소개- 기술 프레젠테이션과 공장 투어, 그리고 WINTEC 사출기 시연  “WINTEC DAY” 행사 전경 한국엔겔기계(주)(엔겔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영업 및 서비스 사장 게로 빌메로트 www.engelglobal.com/ko/kr 이하 한국엔겔)는 지난 7월 3일(목) 한국엔겔 평택공장에서 ENGEL 그룹 계열사인 WINTEC(윈텍)의 최신 사출성형기 모델을 소개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한국엔겔의 윤용진 이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먼저, 게로 빌메로트 사장의 인사말에 이어 윈텍의 최신 사출성형기 모델을 소개하는 기술 프레젠테이션과 평택공장 투어와 더불어 윈텍 t-win, e-win 사출성형기의 시연에 이어, 끝으로 저녁 식사와 함께 행사 참석자 간 친교의 시간을 가졌다. 개회사를 하는 윤용진 이사 윤용진 이사는 개회사를 통해 “엔겔 코리아가 한국에 공장이 있다는 것을 의외로 모르시는 분이 많으시고, 또 1997년 경기도 평택에 설립된 한국엔겔이 25년동안 공장을 운영하고 있었음에도 그 사실에 놀라워하시는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라며, “이에 평택공장도 한번 보여드리고, 또 오스트리아 ENGEL Group이 아시아 시장에 맞춰서 출시한 윈텍 사출성형기를 이미 10여 년간 공급하고 있는데, 제대로 홍보도 못 했고, 또 고객들께도 보답하고자 이번에 “WINTEC DAY”를 개최함으로써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어 이 자리를 마련했습니다”라고 전했다.  인사말을 전하고 있는 게로 빌메로트 사장 이어서, 게로 빌메로트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ENGEL 그룹은 1945년도에 설립되어 현재 유럽, 북미 및 아시아 지역에 10개의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85개국에 자회사 및 대리점을 두고, 7,000여 명의 직원이 15억 유로 매출액(2024/2025)을 올리고 있습니다”라며, “지금 계신 평택공장이 1997년에 아시아에서 처음 설립된 공장이며, 이후 2006년도에 두 번째 공장인 상하이 공장이 설립됐고, 그다음 2014년도에 창저우 공장이 설립됐습니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2013년 엔겔 그룹의 두 번째 브랜드로 중국 창저우에서 설립된 윈텍은 아시아 시장을 타깃으로 하였으나, 이후 2016년 중동,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출시에 이어 2018년도 미국, 그다음에 2020년 유럽 시장으로 진출하게 되어 전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브랜드가 됐습니다”라며, “엔겔 사출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어떤 옵션이라도 다 장착할 수 있게 설계가 되어 있어 가격이 높게 형성이 되어 있는데, 반해 윈텍 사출기의 경우는 표준화를 통해 가격을 좀 더 낮출 수 있었고, 또 빠른 납기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이 엔겔과 윈텍이란 두 브랜드를 사용하게 된 이유입니다”라고 덧붙였다. 올해 멕시코 케레타로에 새로운 생산 시설 오픈 엔겔과 윈텍의 세계 10개 공장은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두 브랜드의 사출기를 같이 생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엔겔 그룹에는 상하이 공장과 창저우 공장이 있는데, 한쪽은 윈텍 사출기를 만들고 한쪽은 엔겔 사출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 공장의 상황에 따라서 두 브랜드의 사출기를 같이 제작하기도 하고 있으며, 최근에 오픈한 멕시코 케레타로 공장도 하이브리드 공장으로, e-mac과 t-win 사출성형기 두 브랜드를 만들고 있고, 오스트리아에 있는 세인트 발렌틴 공장도 엔겔의 대형 사출기를 제작하는데, 최근에는 유럽 시장을 위해서 t-win 사출성형기도 같이 만들고 있다. 게로 빌메로트 사장의 인사말에 이어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팀 김구연 팀장이 윈텍의 최신 사출성형기 모델인 t-win과 e-win의 특장점과 스마트 솔루션을 소개하는 기술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되었다. 기술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있는 김구연 팀장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팀 김구연 팀장은 “사출성형기의 세계적 선도 공급업체로서, 업계에서 안정성과 연속성을 대표하고 있는 엔겔 그룹의 100% 자회사인 윈텍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출성형기를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윈텍은 모회사의 강점과 포괄적인 글로벌 영업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애프터 서비스 지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제품 품질을 보장하여 성공적인 국제 개발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입니다”라며, “2013년에 윈텍 신공장 기공식 이후 2014년에 중국 고객에게 첫 번째 기계를 납품했으며, 2016년 중동,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출시, 2018년 미주, 2020년 유럽 출시를 통해 2022년 1,000번째 t-win 기계를 납품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김구연 팀장은 윈텍 t-win, e-win 사출성형기의 특장점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압식 투 플레이튼 사출성형기 t-win 엔겔 투 플레이튼 노하우에 기반을 둔 윈텍 t-win 사출성형기는 450에서 4,000톤까지 생산하고 있으며, 짧은 납기, 합리적인 가격을 자랑하고 있다. 윈텍 t-win 사출성형기의 첫 번째 강점인 진정한 투 플레이튼 형체 설계는 타이바와 형판 간 마찰 없는 이동 형판 동작, 고강성 설계, 뛰어난 형 개폐 속도, 뛰어난 형판 평행도, 컴팩트한 설계 등을 통해 고객에게 뛰어난 내구성 및 높은 생산성, 고객 금형 보호, 작은 설치 면적 등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두 번째 장점은, 모듈 설계를 통해 짧은 납기, 안정적인 품질제어, 다양한 고객 조건 대응용이, 설비 업그레이드 및 보전작업 용이, 엔겔 장비와 호환할 수 있는 가소화 장치 등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세 번째, 컴팩트한 사출장치는 트윈 실린더 구조에 의한 컴팩트한 설계, 리니어 가이드에 의한 사출장치 이동, 케이블 트랙에 의한 케이블 보호 등의 장점으로, 작은 설치 면적, 저마찰에 의한 에너지 절전성, 청결함, 빠른 반응성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 더불어 바렐 커버에 히터밴드 분배 박스 장착, 짧은 바렐 케이블, 노즐 히터 인터페이스 분리, 엔겔 설계와 호환되어 교체가 가능한 플러그 앤 플레이 바렐 히팅 인터페이스와 클로즈 루프 제어에 의한 높은 재현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네 번째, 효율적인 에너지 드라이브 컨셉으로, 서보 모터 + 가변 펌프와 최대 압력 280bar의 유압 압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다섯 번째, 조작 및 보전 용이성을 자랑하고 있다. 핫러너, 전기 소켓, 코어 풀, 밸브 게이트, 금형 냉각 등으로, 빠르고 쉬운 체결/분해, 넓은 퍼징 플레이, 접근성 양호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금형 인터페이스 및 퍼징 영역, 그리고, 용이한 접근성, 노즐 후퇴 장치 편의성, 쉽고 간편한 바렐 교체 등 유지 보수 공간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여섯 번째로, 금형 평행도, 사출 공정 감시, 형체력 최적화 등의 형판 평행도 측정 등의 스마트 제어 시스템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다.  완전 전동 사출성형기 e-win 엔겔의 e-mac 장비에 기반을 둔 e-win사출성형기는 50~500톤까지 제작되고 있으며, 고성능, 스페셜 생산 셀, 테크놀로지를 자랑하고 있다. 이 모델 또한 짧은 납기,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되고 있다. e-win 사출성형기는,• 정밀성: 완전한 클로즈 루프 제어 설계를 바탕으로, 정밀 센서 및 빠른 서보 반응속도에 따른 정밀 사출• 효율성: 파워풀한 드라이브 부품 및 모든 축의 평행한 볼스크류 동작에 의한 생산성 향상• 절전성: 저마찰 리니어 가이드, 볼스크류, 타이바 프리 설계 및 고효율 서보 드라이브에 의한 낮은 에너지소비• 안정성: 고가성 프레임, 형판, 토글 시스템 및 900가지 이상의 품질 체크에 의한 안정성 극대화• 지능성: 미래 지향적 테크놀로지 적용 및 스마트 기능 확대 등의 특장점을 자랑하고 있다.  이외에도 윈텍 사출기는 스마트 제어 솔루션으로, C3 컨트롤 시스템(C3 제어장치)을 장착하고 있다. C3는 최첨단 장비 작동을 위한 직관적인 제어장치로써, 미래 지향적인 기술, 장기적인 가용성 및 혁신적인 제어를 통해 컨트롤러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프로세스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e-move를 사용한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이 제어장치는 사용자와 기계 간의 완벽한 인터페이스가 되며, 제어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된 로봇과 균일한 외관은 작동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매우 낮은 불량률로 높은 생산성 보장, 기계 재가동 시 빠른 생산 정상화, 일정한 사출 체적으로 프로세스 안정성 향상, 환경 변화로부터 자유로운 생산 안정성을 자랑하는 iQ weight control과 계량 속도 자동 최적화, 이용 가능한 모든 시간 활용 등으로, 가소화 장치 사용기간 최대화, 용융 품질 향상, 초보 오퍼레이터도 적용 가능한 iQ melt control 등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힘, 속도 감시, 자가 학습을 통해 매우 민감한 금형의 형 폐 동작 중 금형 보호, 자가 학습을 통해 매우 민감한 금형의 사출 동작 중 금형 보호 등의 자동 금형 보호기능과 에너지 피크를 낮춤에 따른 전기 기본요금 절감, 기계 및 공장의 결선 준비 비용 절감, 트랜스포머 사이즈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에코 밸런스, 직전 사이클과 현재 사이클의 에너지 소비량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에코 그래프, 150여 가지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설정값 범위를 제한을 두어 희망하지 않는 변경을 방지하는 파라미터 리미터 등을 자랑하고 있다. 한편, 윈텍 사출기는 도움 요청 알림, 1단계 지원 알림, 온라인 분석, 신속한 트러블 슈팅 등의 체계적인 서비스 프로세스인 e-connect.24를 통해 서비스 엔지니어 방문 횟수 감소로 비용 및 시간 절약, 짧은 기계 다운타임으로, 생산성 증가, 주간 업무시간 무상서비스, 최상위 전문가로부터의 지원과 빠른 대응 등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공장 투어 사출성형실 시연 현장 김구연 팀장이 윈텍 t-win, e-win 사출성형기의 특장점을 소개하는 시간 이후 평택공장 투어와 윈텍 장비의 시연이 이어졌다.한편, 오는 10월 8일~15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는 K 2025 전시회의 홀 15, 부스 B42 & C58에서 엔겔과 윈텍의 사출성형기를 직접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용우 2025-07-31
기사제목
 ㈜우진플라임의 프리미엄 NEW-토글 전동식 사출성형기 TE-A5, 사출성형 품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  기술 중심의 글로벌 경영으로 사출성형기를 선도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이하 우진플라임)은 스마트 자재관리, 판금, 주조, 가공, 도장, 스크류 및 바렐 생산과 조립에 이르기까지 모든 제조 공정을 내재화함으로써 제조 품질 향상에 힘쓰며, Super-Foam/Clean-Foam과 같은 저압미세물리발포 기술을 개발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 ‘친환경’적인 요소까지 접목하고 있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자동차, 가전 및 전자제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플라스틱 제품 생산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은 탄탄한 내실로 사출성형품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동사의 프리미엄 NEW-토글 전동식 사출성형기로 유명한 ‘TE-A5’를 소개하고자 한다.   <㈜우진플라임의 ‘TE-A5’>  ■ 유럽 선진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신토글 절전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TE-A5’ 유압식, 전동식, 입형식, 다중다색, Super-Foam, Clean-Foam 등 다양한 사출성형기 제품 라인업과 고객 맞춤형 특수 사출성형기를 커스터마이징 제작할 수 있는 사출성형업계의 국내 선도 기업으로서 위상을 드높이고 있는 우진플라임은 순환경제, 스마트 기능, 상생을 통해 ‘스마트 기술로 연결하는 순환의 미래’를 지향하며 각각의 고객사에 최적인 사출성형기를 제공하고 있다. 동사가 제공하는 우수한 사출성형기 중에서도 유럽 선진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NEW-토글 절전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인 ‘TE-A5’는 현재 50~850톤까지 제작되고 있으며, 사출성형 품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고속 형개폐를 위한 NEW-토글 적용과 클램프 방식 토글핀 고정으로 내구성을 확대하고, 토글 구조를 최적화한 ‘TE-A5’는 실시간 형체력 변화를 감지해 균일한 형체력을 유지하며, 센터프레스 방식으로 금형 내 우수한 형체력 전달 및 높은 면압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급 대비 넓은 타이바 간격과 형개 거리 증가로 다양한 금형 장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진플라임 관계자는 “토글부 무게 감소로 가감속도 제어 및 위치 제어와 형개폐 고속에 유리한 TE-A5는 스크류 길이를 늘림으로써 쿠션 편차 비율을 감소시켰다”라며, “형체력 확대율이 기존 대비 30%가량 향상되었으며, 토글부 무게 역시 기존 대비 10%가량 감소했다”라고 설명했다.  TE-A5는 일반 유압 대비 1일 생산량 300kg 기준으로 약 118.3kWh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해 고객들의 호평을 받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일정한 형체력으로 성형불량을 해소하는 형체력 모니터링 효과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 ‘TE-A5’, 고사양 AC 서보모터 적용으로 동작 정밀성 보장! 독립제어로 인한 더 빨라진 공정! 고사양의 AC 서보모터를 적용해 동작의 정밀성을 보장하고, 각 부위별 독립 제어로 빠른 공정이 가능한 TE-A5는 지난 2023년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인 ‘Red Dot Award’를 수상한 ‘IMC 510 Controller’를 적용하고 있다.  ‘IMC 510 Controller’는 B&R 컨트롤러와 사출기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Full HD 21”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고 있으며, SQL or CSV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OPC-UA(Euromap77)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원격지원 기능과 주변기기 통신 및 모니터링, 공정관리 분석, 에너지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오버뷰체인(Overview Chain) 시스템으로 전체 동작 순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스마트시퀀스(Smart Sequence) 기능으로 사용자가 직접 사출공정 설계할 수 있으며, PLAIMM-X 시스템이 공정 검토 후, 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진플라임의 ‘IMC 510 Controller’>  우진플라임 관계자는 “TE-A5에는 KEBA 컨트롤러가 적용되어 있어 고객분들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컴팩트한 설치형 드라이브 디자인으로 제어반 공간을 최소화했으며, 컨트롤러와의 유연한 호환성으로 UI환경 및 드라이브 성능을 확보했다는 이점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고객의 니즈(Needs)에 최적화된 사출성형기 제시에 매진하는 우진플라임!   TE-A5는 ‘최적화’된 공간 활용과 정밀한 계량은 물론, 향상된 가소화 능력으로 빠르고 균일한 수지를 용융한다. 또한, 반복되는 노즐터치로 인한 형판 형평도 문제를 예방하고, 성형 정밀도를 향상했으며, 서보 드라이브 박스를 일체화해 공간 활용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출하우징과 사출 볼스크류를 하나의 주물에서 조립한 TE-A5는 사출 가이드 및 부시 대신 LM 가이드를 사용해 계량 시 구동부 마찰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해 계량 정밀도를 향상했으며, ‘Dual Pull Nozzle Touch Cylinder’로 반복적인 노즐 터치에도 고정형판의 넘어짐을 방지시켰다. 이것은 금형 손상 방지 및 제품 정밀도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Dual Pull Nozzle Touch Cylinder’>  이렇게 항상 고객의 니즈(Needs)의 최적화된 사출성형기 제시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은 국내를 비롯한 북미, 아시아 등의 구분 없이 동사를 필요로 하는 전 세계 모든 고객사를 대상으로 포지션을 넓혀 나가기 위해 10월 8일(수)부터 15일(수)까지 독일 메세 뒤셀도르프 전시장에서 개최하는 K-SHOW에 참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글로벌 리더’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고객 만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며, 기술 진보에 더욱더 앞장서서 지금도 변화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문의: ㈜우진플라임 본사 043-540-9000 / https://woojinplaimm.com            경인영업본부: 032-580-8377 / 경기영업본부: 031-559-8561            경기북부영업본부: 031-541-8771 / 충청영업본부: 041-544-9541~2            영남영업본부: 051-831-3504 / 경북영업본부: 054-975-8044            김해영업본부: 051-971-9650 / 호남영업본부: 062-955-7534            부천영업센터: 032-675-4748 / 경주영업센터: 054-777-7688            평택영업센터: 031-359-8561  
이명규 기자 2025-07-25
기사제목
- 대형 자동차부품 성형에 우수한 적합성과 다양한 작업 가능성을 인정받아  ㈜팩토리의 4,500톤 사출성형기에 장착된 사출 현장 전용 다관절로봇 ‘H5–26150’  1997년 설립, 취출로봇을 기반으로 플라스틱 성형공장의 자동화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제공해 오고 있는 로봇,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인 한양로보틱스(주)(강종원 대표이사 https://www.hyrobot.com/ 이하 한양로보틱스)는 지난 6월 24일 화성시에 위치한 대형 플라스틱 사출성형 전문업체인 ㈜팩토리의 4,500톤 사출성형기에 사출 현장 전용 다관절로봇 H5–26150을 설치 완료했다. ㈜팩토리의 4,500톤 사출성형기 앞에서 기념사진 촬영(좌측부터 ㈜팩토리 정세진 대표이사, 한양로보틱스(주) 강종원 대표이사) ㈜팩토리는 대형 플라스틱 사출성형 전문업체로써 현대·기아자동차 SQ 인증 업체로 중대형 자동차부품 위주로 제품을 성형하고 있으며, 한양로보틱스는 ㈜팩토리의 기존 3,550톤 사출성형기에도 이미 H5 시리즈를 납품했었고, 이번에 연이어 신규로 도입된 4,500톤 사출성형기에도 H5 다관절로봇을 설치하게 된 것이다. 사출 현장 전용 다관절로봇 H5 시리즈 로봇 업계 최초로 개발된 사출 현장 전용 다관절로봇 H5 시리즈는 별도 전문가의 출장이 필요 없이 현장 작업자가 쉽게 조작이 가능한, 쉽고 간편한 설정과 고 정밀도의 동작 구현이 가능해 취출 후 사상, 게이트 커팅, 포장 적재 등 다양한 후공정 작업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품 중량 감지, 금형 및 제품 표면 온도 감지, 제품 표면 정전기 제거, 실시간 생산현황 모니터링, 원격 AS 기능 등 4차 산업을 위한 Smart Option을 구축할 수 있다.  더불어 직교 로봇 대비 저 천장 현장 대응이 가능하고 다관절로봇으로 게이트 커팅, 화염 사상 공정, 제품 검수, 포장 등 다양한 2차 공정자동화 대체가 가능하며, 주행부+다관절로봇 형태(현장에 맞는 최적의 스트로크), 다양한 취출 지그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 사출기와의 인터페이스, 통신 모듈 기본 탑재 등으로 범용 다관절로봇 대비 사출성형 업종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특히 이번 4,500톤 사출성형기에 장착된 H5-26150 다관절로봇은 4,000~5,000㎜의 주행스트로크와 2,550㎜의 리치, 그리고 150kg의 최대 기반 하중(척 헤드 포함)을 자랑하고 있다.     
이용우 2025-07-03
기사제목
- 설립 때부터 거래해 온 고객으로서 중대형 사출성형기를 지속적으로 공급 중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종합 기계 메이커 Cosmos Ma- chinery Enterprise Limited(CML 그룹 이하 Cosmos Ma- chinery)의 자회사인 ‘동화기계’의 사출성형기를 국내에 도입하고 있는 코스모스코리아㈜(대표이사 윤여진 www.코스모스코리아.kr 이하 코스모스코리아)가 지난 6월 24일, 화성시 우정읍에 있는 대형 자동차부품 전문 사출성형업체인 ㈜팩토리에 4,500톤 대형 사출성형기를 납품 완료하고 안전한 기계 운용을 위한 고사를 지냈다. 대형 자동차부품 전문 성형업체인 ㈜팩토리는 현재 화성시에 3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회사의 사출성형기는 모두 중대형 사출기이며, 모두 코스모스코리아가 공급했다. 20여 년간 사출 하도급 사업을 해오다가 4년 전 ㈜팩토리를 설립할 때부터 코스모스코리아와 인연을 맺기 시작해 지금까지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팩토리 정세진 대표이사는 “처음에는 SQ 인증 마크를 획득하기 힘들 거로 생각하고 사출기 3,350t 한 대로 천천히 사업을 해나가려고 했는데, 마침 코로나19 이후에 현대기아자동차 1차 밴더 업체로부터 자기들이 주관해서 SQ 인증을 획득하려니, 협력업체로 등록하라는 제안을 받고, 결국에 인증 획득에 성공하게 되었고, 그 1차 밴더 업체에서 1,850t하고 1,300t 사출기를 갖추면 물량을 맞춰주겠다는 제안을 받게 되면서 대형사출기를 더 들어오게 된 것이죠”라고 말했다.  설립 때부터 코스모스코리아 3,350t 사출기를 공급받으면서 그 AS 면에서 신뢰성을 가질 수 있었기에 1,850t, 1,300t 사출기 등 추가 오더도 역시 코스모스코리아 몫이 될 수 있었고, 그 후 1,000t, 750t, 550t 등 거래관계를 꾸준하게 이어오던 중에 이번 4,500t 사출성형기까지 도입하게 된 것이다. 현재 ㈜팩토리는 화성시 우정읍에 본 공장 2개와 팔탄면에 석포 공장 등 3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정세진 대표이사는 “코스모스코리아와 거래하면서 예전에 중국산 사출기에 대한 선입견들이 많이 없어졌고, 또 우리 사출기를 보러 온 분들이 ‘사출기가 많이 좋아졌다’라며, ‘옛날 사출기가 아니다.’ 이런 얘기들을 많이들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도 국내외 사출기 전문 여러 업체에서 견적을 받아보고. 결국에 코스모스코리아의 4,500t 대형사출기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라고 전했다. ㈜팩토리 정세진 대표이사 코스모스코리아는 지난 2024년 하반기부터 4,500톤 사출기에 대해 상담을 시작해서 중국에 주문하고 제조하는 데만 4개월, 한국에 들어와서 조립하는 데 1개월이 걸린 긴 시간 공을 들인 사출기다.  코스모스코리아 관계자는 “본 공장에 들여와서 조립 설치하는 데만 한 달이라는 시간이 걸렸고, 국내에 들여올 때도 워낙에 덩치가 커서 컨테이너도 그냥 일반 컨테이너 아니고 오픈 컨테이너로 실어 왔고, 선적할 때도 배 한 대가 아니라 두 대도 나눠서 들여왔다”라며, 처음으로 4,500t 대형사출기를 들어오는 일이 쉽지만은 않았다고 전한다. 이번에 ㈜팩토리에 공급한 4,500t 대형사출기는 금형 무게 40t, PC+ABS G/F 20 소재를 활용한 제품무게만 50kg가량의 자동차 배터리 셀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트레이 제품을 성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기차 배터리 업계가 좀 주춤하면서 먼저 다른 제품의 시사출을 마치고 그쪽 제품을 생산하려고 준비 중이다.  4,500t 사출기는 80kg~100kg의 여러 제품을 성형할 수 있어 ㈜팩토리는 SQ 인증업체로 그동안 대형 자동차부품 및 배터리 업체들인 고객사들의 여러 요청을 받고 있다. 이들의 요청을 맞춰가면서 다음에 대형 부품 성형이 필요한 시기에 오더를 해결해줄 수 있게 하려는 의지의 표현이고, 그리고 이왕 기계를 새롭게 들일 거라면 다른 업체에서 쉽게 접근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4,500t 대형사출기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80kg~100kg 부품을 생산해줄 수 있는 업체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 배터리 1차 밴더들 쪽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한 4,500t 대형사출기는 에너지 절감, 그리고 증압판을 사용한 직압 형체 구조로 금형 보호 및 제품성형 품질 유지, 커넥팅 로드 브레이크 너트 동기화 기술로 신속하고 정확한 형 개폐 동작 및 위치 제어, 탁월한 제품무게 재현성 등의 특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코스모스코리아(주)와 ㈜팩토리 간의 협의를 통해 로봇 및 합리화 기기들을 전체를 연계, 설치하였다. 한편, 코스모스코리아는 지난 KOPLAS 2025에 참여해 처음으로 선보인 차세대 ‘Se5 시리즈’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풀 체인지(Full-change)된 ‘Se5 시리즈’는 움직임을 정교하게 다듬어 최적화된 동력 구성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였으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견고함을 갖춘 디자인으로 고객분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설명한 코스모스코리아의 관계자는 “특히 인체공학적으로 최적화된 클램프 유닛 설계도 내구성을 높인 것은 물론, 고강도 생산환경에서도 생산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만큼 튼튼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축적된 마케팅 능력을 기반으로 보다 빠르고 신속한 24시간 A/S팀을 운영은 물론, 100% 고객 만족을 실현해 나가고 있는 코스모스코리아, 그들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문의: 코스모스코리아㈜ 031-454-8711~2 www.cosmoskorea.kr  
이용우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