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hpf미네랄스
현대보테코
K쇼배너

기술과 솔루션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이구스의 스마트 플라스틱 제품으로 안정적인 자동화 생산 보장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바로 안정성이다. 전체 차체 또는 엔진과 같은 개별 구성품은 매우 높은 수준의 자동화 생산 라인을 거친다. 만약 이 중 한 부분이라도 생산이 갑자기 멈추게 되면 곧 엄청난 비용 손실로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 생산 업체 및 부품 공급 업체에게는 안정적인 생산 설비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오스트리아의 한 엔진 제조업체는 이구스의 ‘스마트 플라스틱’을 도입했다. 이구스 솔루션은 체인에 부착된 센서로 마모 정도를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사전에 수리 및 교체시기를 알려준다. ■ 오스트리아 엔진 생산 공장의 엔진 블록 자동 분류를 위한 실내 리니어 로봇 이구스의 에너지체인 시스템은 한 주에 거의 18~19번 교체 가동되는 리니어 로봇에 적용되었다. 가장 바쁠 때는 하루 6,000개 정도의 엔진이 생산되는데, 평균적으로 14초에 엔진 하나가 조립라인을 떠나야 한다. 그렇기에 리니어 로봇에 적용된 에너지체인 시스템은 순식간에 백만 스트로크에 다다른다. 금속 체인대비 중량과 소음을 최소화하기를 원하는 제조업체가 있다면 이구스의 플라스틱 에너지체인이 하나의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조산업 내에서 ‘예방적 유지보수’가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며 구현 가능한 시스템을 찾고 있는데, 이구스는 이에 대해 수년간 준비해왔다. 이구스의 e체인 시스템 담당자인 Michael Blaß은 “우리가 ‘isense’라는 명칭으로 분류한 이 제품군은 다양한 센서와 모니터링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와 제품의 디지털 네트워크 시스템 덕분에 구성품의 상태를 측정 및 기록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즉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로 사용자는 예기치 않은 다운타임이나, 막대한 비용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중 안전 장치: 마모 및 파손 모니터링 이번 베타 테스트에는 isense EC.W(Wear) 제품이 적용 되었다. e체인의 크로스바에 설치된 마모 감지센서가 주행 중인 e체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마모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체인의 수명이 다할 때쯤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고성능 에너지체인의 뛰어난 내마모성 덕분에 지금까지 심각한 수준의 마모가 진행되지 않아, 실제 신호는 아직 전송되지 않았다. 폴리머 와이어와 센서로 체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isense EC.B(Break)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과거에는 외관상으로는 변화가 감지되지 않지만 에너지체인 시스템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EC.B로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의 엔진 공장에서 이구스의 isense 모듈은 이달의 혁신 기술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50~60대의 파손 감지형 에너지체인 시스템의 추가 주문이 계획되어 있다. 베타 테스트에 적용된 세 시스템중 하나는 이제 생산라인에 그대로 남아 가동되고 있다. 시스템의 육안 점검 후 엔지니어는 알람이 잘못 되었는지, 유지보수가 실제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당 공장은 유지보수나 파손으로 인한 막대한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박애영 2018-08-07
기사제목
- 1㎠ 소자 세계 최고 효율 20.9% 공인인증, 네이처 에너지(IF=46.859) 논문 게재 - 높은 열안정성 지닌 새로운 정공 수송 소재 개발하여 고효율과 장기 안정성 동시 확보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서장원 박사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성하고 있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 전지의 열안정성을 높이고 1㎠ 소자 세계 최고 효율(20.9%)을 기록했다. 본 성과는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 IF=46.859) 7월 9일자(현지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물질로 AMX3 화학식을 갖는 구조체(A, M은 양이온, X는 음이온, 발견자인 러시아 과학자 페로브스키를 기념하여 명명함)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제조가 쉽고 저렴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전지가 상업화되려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효율과 실제 태양전지 구동 환경에서의 높은 온도에 대한 열안정성이 동시에 높아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고효율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화학(연) 연구팀은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열안정성도 동시에 만족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단면은 총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맨 위에는 물질의 정공*을 이동시키는 정공 수송 층이, 가운데에는 빛을 받아 전하를 생성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층이, 아래에는 전자를 이동시키는 전자 수송 층이 있다. 태양광을 받으면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중앙 화합물층의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면서 전기가 발생한다. 이때 정공은 양극으로, 전자는 음극으로 이동하는데 정공을 운반하는 층을 정공 수송 층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 정공 수송 층에 쓰이는 새로운 화학소재를 개발한 것이다. * 정공 : 반도체 내에서 전자가 부족한 상태를 나타내는 가상의 입자로서, 전자와는 반대로 양의 전하를 띈다.‘DM’으로 명명된 새로운 화학소재는 정공을 운반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페로브스카이트 전지에 최적화된 에너지 레벨*을 지녔다. 이러한 특성은 태양전지의 개방전압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개방전압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하는 주요 기준으로, 본 소재를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단위 소자 면적(0.1㎠)보다 10배 큰 1㎠ 소자에서도 높은 효율을 보였다.** * 에너지 레벨 : 물질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고유값(원자, 분자 혹은 고체 물질 등과 같이 양자역학적 계에서 형성된 전자들이 존재할 수 있는 양자화된 상태들이 가지는 에너지 값)** 태양전지 소자 효율은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빛 에너지와 태양전지 출력의 비율을 의미한다. 소자 효율을 측정하는 항목에는 개방전압, 단락전류밀도, 성능지수가 있는데, 본 기술은 개방전압을 높였다. 전압이 높으면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기존 정공 수송 소재인 Spiro-OMeTAD 소재가 가지고 있는 취약한 열안정성을 극복했다. 신규 개발된 소재는 섭씨 60도에서 500시간 이상 장기 열안정성을 보인다. 본 결과는 같은 면적 1㎠에서 지난 2017년 기록한 19.7%의 효율(사이언스지 게재)을 약 1년여 만에 갱신한 성과다. 한편, 화학(연)에서 지난해 11월 미국재생에너지연구소(NREL) 차트의 단위 소자 면적 세계 최고 효율(22.7%)을 기록한 기술과는 다른 기술이다. 그러나 성능 면에서 지난해 기술에 버금가는 우수한 결과*다. * 2017년 22.7% 효율은 단위 소자인 0.1㎠에서의 결과이며, 올해 본 기술을 적용한 결과는 단위 소자에서 22.6%, 그 10배 면적인 1㎠에서는 20.9% 효율이다(1㎠ 세계 최고 효율). 화학(연) 서장원 박사는 “이번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 고효율화 기술을 적용한 대면적 모듈 제조 개발에 힘쓰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공동교신저자로 참여한 화학(연) 이재민 박사는 “이번에 새롭게 개발된 정공 수송 소재는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유기반도체 소재 분야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의 협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화학(연) 주요사업 및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과 학문후속세대 대통령포스닥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 논문명: A fluorene-terminated hole-transporting material for highly efficient and stable perovskite solar cells (DOI:10.1038/s41560-018-0200-6)- 저자정보: 화학(연) 서장원 박사(공동 교신저자), 이재민 박사(공동 교신저자), 전남중 박사(공동 제1저자), 나혜진 연구원(공동 제1저자), 정의혁 박사(공동 제1저자) 연구내용본 연구팀은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구현을 위해 다양하고 획기적인 기술의 개발을 통해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소자 성능 향상을 이루었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고효율 이외에 장기 안정성과 소자의 대면적화에 관한 연구 또한 상당히 중요하다. 기존에 사용되는 spiro-OMeTAD는 낮은 유리전이온도(Tg)와 흡습성이 있는 첨가제의 도입 (Li-TFSI, tBP)으로 인해 소자의 안정성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성 요소 중 열적으로 가장 취약한 spiro-OMeTAD를 화학적으로 간단하게 개질하여 상용화를 위한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였다.본 연구는  spiro-OMeTAD 구조(그림 1 위 왼쪽)의 말단을 기존의 methoxy phenyl-에서 구조적으로 평면성이 높고 electron donating이 약한 fluorene을 도입한  DM(그림 1 위 오른쪽)을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상대적으로 electron donating 능력이 약한 말단이 도입된 DM은 spiro-OMeTAD대비 낮아진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energy level을 보였다.(그림 1 아래 왼쪽)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페로브스카이트 층의 valance band maximum(VBM)의 줄어든 energy offset으로 감소한 energy loss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DM은 spiro-OMeTAD대비 40∘C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보이며 향상된 물질의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그림 1 아래 오른쪽)그림 1. (위 왼쪽) spiro-OMeTAD, (위 오른쪽) DM 의 화학 구조식, (아래 왼쪽) 해당 물질을 도입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각 층의 에너지 레벨, (아래 오른쪽) spiro-OMeTAD와 DM의 열적 특성Energy level 조절을 통해 DM 기반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spiro-OMeTAD 기반의 태양전지에 비해 향상된 개방회로전압(VOC)를 얻었다.(그림 2 위 왼쪽) 증가한 VOC를 기반으로 22% 이상의 높은 효율을 나타냈으며, 이 효율은 이전 발표되었던 22.1% (2017년 Science 발표)에 비해 향상된 효율이다. 또한, DM을 1㎠ 면적의 태양전지에 적용하였을 때, 20.9%의 전력 변환 효율을 보였고 이는 공인인증을 받았다. 위 효율은 지금까지 보고된 1㎠ 면적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 최고 효율이며, 모듈로 도입 가능성을 충분히 증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증가한 효율에 더불어 DM 기반의 태양전지는 spiro-OMeTAD를 도입한 태양전지에 비해 60~80℃ 내의 온도에서 높은 열안정성을 보였다.(그림 2 위 오른쪽) DM 기반 태양전지의 장기 안정성을 확인할 결과, 500시간 동안 60℃의 온도에서 보관한 태양전지의 효율(21.2%)은 초기 태양전지의 효율(22.3%)에 비해 95%를 유지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보였다. 그림 2. (위 왼쪽) spiro-OMeTAD를 도입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DM을 도입한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 (위 오른쪽) 각 해당 태양전지의 온도별(60℃, 70℃, 80℃) 열안정성 비교, (아래) DM을 도입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60℃에서 장기 열안정성기대효과이번 연구는 정공 수송 소재의 화학적 개질을 통해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고효율과 더불어 대면적화, 안정성 확보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공 수송 물질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만들었다.이는 기존 상용화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나 박막형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에 근접한 성능으로 차세대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말단 개질의 전략은 추후 더욱 우수한 정공 수송 물질 개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용우 2018-07-11
기사제목
1. 해석 모델그림 1은 칼텍(Caltech)에서 개발한 두 개의 대형 수냉식 동판에 유도가열을 이용한 금형 기기이다. 그림 1-(a)는 Semi-solidly 처리된 판을 만드는데 필요한 절차로, 처음에 수냉되어진 동판 위에 합금 물질을 놓고, Induction Coil에 AC 전류를 인가시켜 동판에 유도되는 전류로 가열시킨다. 그다음 2개의 가열된 동판을 부착시켜 합금 물질의 모양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상부의 동판을 원래 자리에 위치시키면 합금 물질이 변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1. 유도가열 금형 기기(출처: TMS/Journals/JOM)2. ANSYS Maxwell 해석 프로그램 소개ANSYS Maxwell은 전자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서 전동기, 액추에이터, 센서, 변압기 및 기타 전자기/전기기계 장치의 설계 및 분석에 사용된다. Maxwell을 이용하면 비선형, 전기기계 부품의 과도 상태 동작, 그리고 구동 회로와 제어 시스템이 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특성화할 수 있다.Maxwell은 6가지의 솔루션 유형을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그림1의 유도가열 금형 기기의 경우에는 Eddy Current Solver를 이용하여 전류와 주파수를 입력하고 이에 따른 유도가열 해석을 한 것이다. 그림 2는 Maxwell을 이용한 변압기, 솔레노이드, 모터의 Fields 분포 해석 사례이다.그림 2. 다양한 ANSYS Maxwell 해석 사례ANSYS Maxwell은 ANSYS Twin Builder와 연동하여 시스템해석이 가능하고, Mechanical 또는 Fluent와 연동하면 구조, 진동, 소음, 열, 유동해석 등이 가능하다. FEM 해석을 할 때는 2D(Triangular), 3D(Tetrahedra) Adaptive Mesh 기능이 있어서 초기에 Initial Mesh를 나누고 Energy Error가 수렴할 때까지 Refine Mesh를 진행한다. 그리고 Maxwell 2D, 3D의 재질 정보에 BH curve 및 BP curve, Hysteresis Curve 등을 입력하여 비선형 재질이 고려된 전자장 특성과 Copper Loss, Core Loss 등을 출력할 수 있다.3. ANSYS Maxwell을 이용한 유도가열 금형 기기의 전자장 해석A. 유도가열 원리Induction Coil에 AC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2개의 동판에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도체 물질에 수직 방향으로 시간에 따른 자속의 변화량이 있으면 도체 표면에 유도전류(Eddy Current)가 흐르면서 저항손실이 발생하고 열로 방출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도체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깊이가 중요한 요소인데, 이 깊이를 침투 깊이(Skin Depth)라고 부르며, 계산되는 수식은 그림 3과 같다. 침투 깊이는 높은 투자율과 도전율을 갖는 물질에 높은 주파수로 자속이 변화하게 되면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된다. 침투 깊이가 얇을수록 전류가 흐르는 면적이 좁아지므로 큰 저항을 갖게 된다. 또한, 전류가 흐르는 루트 범위가 넓을수록 저항이 커지므로 높은 유도 가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의 입력 전류가 인가되어야 한다.그림 3. 침투 깊이의 원리(출처 : Wikipedia)B. ANSYS Maxwell의 Pre-processingMaxwell에서는 자체적으로 Geo-metry Modeling이 가능하다. 내부적으로 User Defined Primitives 기능이 있어서 Motor, Generator, Trans-former, Inductor, Coil과 같은 형상을 간단하게 모델링할 수 있다. 그림 4의 해석 모델은 Draw > User Defined Primitive > SegmentedHelix > PolygonHelix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6턴의 코일과 2개의 동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상 및 재질 설정이 완료되면 전류의 입력과 출력을 설정하고, 해석 범위를 가상의 공간으로 만들어서 경계 조건으로 설정한다.Eddy Current Solver는 Adaptive meshing을 통해서 자동으로 Energy error가 수렴할 때까지 일정 mesh 증가율로 mesh량이 증가 된다. Initial mesh 조건은 침투 깊이를 고려해서 2개의 도체 판의 표면에 설정하였다.그림 4. Maxwell의 Pre-processingC. ANSYS Maxwell의 Post-processingMaxwell 자계해석을 통한 유도 가열의 Fields 분포 출력은 전류밀도, 자속밀도, 손실분포 등을 주로 확인하며 Coil의 턴수, 직경, 분포에 따라서 유도 전류의 크기 및 범위가 결정된다. 그림 5는 전자장 Solving 후의 결과를 출력한 것으로, 그림 5-(a)는 Initial mesh를 설정하고 해석을 진행하면서 Refined Mesh를 통한 수렴 후의 Mesh 분포를 출력한 것이다. 유도 가열 관련 해석을 하는 경우에는 유도 가열되는 2개의 동판에 Initial mesh의 침투 깊이를 고려해서 설정해야 오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림 5-(b)는 2개의 동판에 유도 전류 밀도를 출력한 것이다. AC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전류밀도의 분포는 전류 위상각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그림 5-(c)는 저항손실 분포를 출력한 것으로, 기본 단위는 [W/m^3]로 단위 체적당 발생하는 손실을 뜻한다.그림 5. Maxwell의 Post-processing그림 6은 동판에서 발생하는 저항손실을 Fields Calculator의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한 것이다. Fields Calculator는 특정 형상에 대해서 힘, 손실, 자속밀도, 전류밀도 등을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림 7은 특정 grid point에서의 Fields data를 외부 *.fld 파일로 저장시켜주는 Export Solution 화면이다. Calculate grid points에서 직교, 원통, 구 좌표계 중에서 선택하여 Minimum, Maximum, Spacing으로 범위를 지정하고 OK를 누르면 설정한 범위 내에서 Fields data가 출력된다. Ohmic_Loss를 *.fld 파일로 저장한 것을 Heat Generation 값으로 Mechanical, Fluent, Icepak 등의 열 해석 프로그램에 소스로 입력하여 열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그림 6. Calculator를 이용한 동판의 저항손실 값그림 7. Calculator를 이용한 grid points에서의 loss 데이터 추출맺음말지난 5회에 걸쳐 ANSYS를 통한 플라스틱 및 금형 시뮬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번 화에서는 합금 물질의 금형으로 사용되는 유도 가열기의 전자장 해석 방법과 해석 프로그램인 ANSYS Maxwell 소개로 마무리하였다.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ANSYS가 앞으로도 금형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어 다양한 해석적 접근 방법과 사례가 늘어나길 바란다.* 원고에 사용한 이미지는 TMS의 JOM Journals과 Wikipedia에서 인용하였음
이용우 2018-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