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전시/세미나/교육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제주 아스타 호텔에서 6월 28일~30일까지 2박 3일간 진행(사)한국고무학회(회장 조을룡, www.rubber.or.kr 이하 고무학회)는 지난 6월 28일(목)부터 30일(토)까지 2박 3일간 우리나라 최고의 휴양지인 제주도에서 2018년도 “제48회 하계 고무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본 세미나는 고무기술 중에서도 최근의 기술 동향과 전망 및 첨단산업과 관련되는 기술을 주제로 하여 진행하며, 또한, 회원 상호 간의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교류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올해로 48회를 맞이하는 이번 하계 고무기술 세미나 첫날인 28일에는 개회식 진행 후에 삼육대학교 고원배 교수를 좌장으로, △ Alpha Technologies/삼보과학(주) Application Specialist, Vera Cao의 ‘Reformation of Rubber Testing Solution from Lab Environment to Production Floor’ △ Lefrant Rubco R&D manager, Elodie Michel의 ‘Factice, a bio-based additive for Rubber’ 등의 발표가 있었으며, 29일에는 삼보화학(주) 장은석 차장을 좌장으로, △ (주)DRB동일 정기택 팀장의 ‘면진시스템의 소개’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박진영 선임연구원의 ‘건설구조물 내진 성능향상을 위한 면진·제진 기술 현황’의 발표에 이어 점심 식사 시간을 갖은 후, 오후에는 부산대학교 김원호 교수를 좌장으로, △ 한국타이어(주) 김상협 책임연구원의 ‘타이어 시뮬레이션 기술 소개’ △ 조선대학교 안동규 교수의 ‘3D 프린팅 공정의 성형 공정 및 금형 개발 활용’ △ 한국타이어(주) 김승욱 연구임원의 ‘화학물질과 업무상 질병과의 관계 고찰’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마지막 날인 30일에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류민영 교수를 좌장으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용 선임연구원의 ‘3D 프린팅기술 트렌드 및 플라스틱 부품 응용사례’ △ 중소기업진흥공단 박상욱 전문위원의 ‘감광성 고분자 기술 동향’ 발표에 이어 수료식 및 폐회식을 진행함으로써 제48회 하계 고무기술 세미나를 마쳤다.(사)한국고무학회 조을룡 회장은 “제48회 하계 고무기술 세미나를 통해 일상의 격무에서 벗어나 천혜의 자연을 간직한 제주도에서 심신의 피로를 풀면서 전문 지식의 재충전과 풍성한 인적교류의 시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전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행사를 통해 고무 학계와 산업계의 기술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참을 부탁한다”고 전했다. 
이용우 2018-08-16
기사제목
- 세션Ⅰ,Ⅱ로 나뉘어 국내외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 및 가공 관련 최신기술 정보공유SPE Korea(회장 이성구)는 지난 6월 29일, 한국화학연구원 디딤돌플라자에서 제41차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올해로 21주년을 맞이하는 SPE Korea는 그동안 매년 2회의 컨퍼런스를 통해 국내외의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 및 가공과 관련된 최신기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플라스틱 산업 발전에 이바지해오고 있다.SPE Korea Section의 회장인 한국화학연구원 이성구 박사의 개회 인사말을 시작으로 이번 컨퍼런스는 “Polymers for Industrial Applications”와 “Novel Trends in Polymer Industries” 등 2개 세션으로 나뉘어 총 14개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본 강연에 앞서 기조 강연으로 한국화학연구원 최길영 명예연구원이 ‘한국의 고분자소재 기술개발 70년 발자취’를 주제로 고분자소재의 실용화 기술개발 발자취와 과제에 대해 강연을 했으며, 이어서 다우케미칼의 Transportation I/E 마케팅 매니저 Francisco Paz가 ‘Trends in Automotive industry and Future Impact on TPO Requirements’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이후 진행된 ‘제41차 SPE Korea Award’에서는 SK케미칼 김도균 수석연구원이 ‘FDM용 3D 프린팅 신규소재 개발’연구로, 롯데케미칼 이종욱 수석연구원은 ‘연속유리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적용한 자동차 부품 개발사례’연구로 기술상을 받았으며, Dow Hyun Award는 한남대학교 석사과정 설인수 학생과 경상대학교 박사과정 장혜경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Dow Hyun Award를 수상한 설인수 학생과 장혜경 학생이 각각 ‘실제 측정된 고분자 가공 물성 기반의 새로운 단축 압출기 고형수지 이송 모델의 개발’과 ‘에너지소산율 기반의 비뉴턴유체 유동정량화’를 주제로 우수논문 발표에 이어서 본격적인 세션 발표가 진행됐다.‘Polymers for Industrial Applications’를 주제로 한 세션Ⅰ에서는, △ 다우케미칼의 Global Application Technology Leader, Mr. Russell Barry의 ‘경량화 TPO 컴파운드용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설계’ △ LG화학 양세우 연구위원의 ‘LG화학의 점착/접착 기술과 응용’ △ SK이노베이션 김기엽 수석연구원의 ‘Packaging Application of EAA and Ionomer from SKGC’ △ 한국화학연구원 오동엽 선임연구원의 ‘자동차 부품용 고감성 친환경 고분자 소재’ △ 한남대 김명호 교수의 ‘SPE 홈페이지와 회원가입을 통한 플라스틱분야 연구자료 확보’ △ 서울과학기술대 김선경 교수의 ‘몰드플로우를 이용한 RTM 시뮬레이션’ △ 한화케미칼 이상진 선임연구원의 ‘Structural Interaction Gas Barrier Properties of Ethylene-Vinyl Alcohol/Tin Phosphate Glass Composite’ 발표가 진행됐다. 한편 ‘Novel Trends in Polymer Industries’를 주제로 한 세션Ⅱ에서는 △ 다우코닝 김봉식 부장의 ‘Silicone(Polymer, Resin and Silane) Solution Offering for Plastics Flame Retardant, Coupling Agent, Process Aid Function’ △ 단국대학교 이동현 교수의 ‘Self-Assembly of Nanostructures for Application in Nanofabrication’ △ 자동차부품연구원 김남일 박사의 ‘자동차용 글레이징 개발 동향’ △ 경상대학교 황욱렬 교수의 ‘일반적 유로현상에서의 에너지 기반 비 뉴턴유체(non-Newtonian fluid) 유동 정량화 및 온라인 점도 모니터링’ △ 부경대학교 장동욱 교수의 ‘Facile Solution-based Synthesis of Nitrogen-doped Grapheme for Electrocatalysts in Fuel Cell’ △ 삼양사 류훈 팀장의 ‘Isosorbide를 이용한 바이오 화학소재 개발’ △ 한국화학연구원 최우진 책임연구원의 ‘탄소계 필러를 활용한 비혼화성 고분자 블렌드의 전기전도도 향상’이 발표됐다.
이용우 2018-08-16
기사제목
- 자동차 전장기술 산업전‧자동차 테스팅 기술 산업전 및 특별 세미나 공동 개최지난 7월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는 ‘2018 AUTOMOTIVE TECHNOLOGY EXPO’가 개최됐다. ㈜마이스포럼이 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첨단 자동차 기술 혁신을 말하다”를 주제로 '자동차 전장기술 산업전(Automotive Electronic System Fair)'과 '자동차 테스팅 기술 산업전(Automotive Testing Fair)이 동시에 개최됐음 물론, 특히 부대행사로 전시회 기간 동안 매일 자동차관련 전문 세미나가 함께 개최되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자동차 전장기술 산업전에는 전자제어‧테스트 신뢰성 분석기기, 반도체·부품·센서, 검사·시험·평가, ECU제조/부품, 자동차 센서, 카메라 모듈/부품 등이, 그리고 자동차 테스팅 기술 산업전에는 신뢰성 시험분석, 계측/성능 TEST, 검사/시험평가/장비시스템 등이 전시됐다. 더불어 이번 전시기간동안 부대행사로 aT센터 3층 세계로룸에서는 18일 ‘2018 미래형 자동차를 위한 스마트 플랫폼 제조 솔루션 기술 세미나’를, 19일에는 ‘2018 자동차 전장부품 신뢰성 기술 및 이슈 세미나’를, 그리고 20일에는 ‘2018 최첨단 스마트 센서 산업 시장 동향과 기술 전략 세미나’와 ‘2018 자동차 경량소재 기술개발 및 이종접합 성형기술 세미나’ 등 특별 세미나가 개최됐으며, 이외에 전시장 내 모든 참관객들이 자유롭게 들을 수 있는 ‘엔지니어 오픈 기술 세미나’도 함께 진행했다. 전시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및 세미나를 통해 “차세대 자동차관련 기술을 모두 접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라며, “최첨단 기술 전시 및 세미나 등을 통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됐었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용우 2018-08-16
기사제목
- 다양한 산업분야와 접목된 인쇄의 미래를 만날 수 있는 기회- 8월 29일(수)부터 9월 1일(토)까지 일산 KINTEX 제2전시장에서…KIPES, K-Label, K-Pack, K-DigiPrint, K-Textile 등 5개 전시회 통합 개최!변화하는 인쇄산업의 비전을 제시해 줄 국내 최대 인쇄인의 축제인 ‘K-PRINT’가 오는 8월 29일(수)부터 9월 1일(토)까지 4일간 “Design the Future”를 주제로 일산 KINTEX 제2전시장에서 개최된다.한국이앤엑스와 대한인쇄문화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 KOTRA,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 대한인쇄기술협회, 서울특별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대한인쇄연구소, 한국제책공업협동조합, 한국스크린인쇄공업협회, 한국골판지포장산업협동조합, 한국인쇄학회 등 관련기관과 단체가 후원하는 K-PRINT 2018 전시회는 KINTEX 제2전시장 Hall 7,8에서 사상 최대인 22,580spm 규모로 개최된다.최근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장되고 있는 인쇄시장의 트렌드에 맞추어, 이번 K-PRINT 2018은 국제인쇄산업전시회인 KIPES 전시회를 비롯하여 한국레이블전시회(K-Label), 한국인쇄패키지전시회(K-Pack), 한국디지털인쇄․솔루션전시회(K-DigiPrint)와 함께 2018년도부터 추가 구성되는 한국텍스타일전시회(K-Textile)를 한자리에서 개최함으로써 점차 다양화되고 세분화되는 인쇄시장에 발 맞춰 다양한 품목으로 더욱 확대되어 진행된다.다양한 산업군에 접목된, 첨단 인쇄기술과 장비를 한눈에 조망!이번 K-PRINT 2018은 새로운 인쇄산업의 미래를 여는 디지털인쇄, 레이블, 인쇄패키지, 텍스타일 산업의 통합전시회로써, 기존 인쇄영역의 확대와 함께 새롭게 변화하는 신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인쇄환경의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경쟁력과 비전을 선보이며, 관련 산업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고부가 가치 콘텐츠를 생산하고 토탈 마케팅 솔루션을 제시할 것이다.특히, 최근 다양한 산업군과 인쇄가 접목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레이블 관련 최신장비와 한층 다양해진 프리프레스 및 후가공 장비들, 인쇄공정의 효율화를 위한 인쇄관련 솔루션 및 Web to Print, 다양한 소재에 적용되는 디지털인쇄, 특수인쇄, 포장인쇄 등 인쇄산업 전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이번 전시회에는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세계 유수의 업체들이 참가하여 최신기술과 제품을 선보임으로써, 관련 산업의 기술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시회 기간 중에 외국인 700여 명을 비롯한 3만여 명의 바이어가 내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전시회를 통하여 6천7백억 원의 내수 상담과 9천3백만 불 이상의 수출상담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최신의 인쇄정보, 다양한 정보교류의 장!K-Print 2018 전시 기간 중에는 패키징과 디지털 인쇄, 디자인 세미나, DIGIPEX 2018, 스마트 레이블 인쇄산업, 스펙트럼 아시아 2018, Paper 세미나, 디지털 프린팅 애플리케이션 세미나 등 20여 회의 관련 세미나가 개최되어 최신의 정보와 함께 미래의 비전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K-PRINT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유망전시회로 선정됨에 따라, 전시회의 국제화를 위하여 해외 인쇄관계인 및 인쇄관련 기자의 초청은 물론, 참가업체가 초청하는 해외바이어의 체재비를 지원하여 많은 바이어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K-PRINT 2018 사무국에서는 전시회를 방문하는 해외바이어를 위해 전시장입구에 ‘무료통역센터’를 운영하며, ‘해외바이어 투어 프로그램’도 마련하였다. 이외에도 방문객과 참가업체간 사전상담예약 시스템, 참관객 사전등록시스템, 숙박 및 교통안내 등 여러 편의서비스를 K-PRINT 홈페이지(www.kprint.kr)를 통해서 제공하고 있다.아울러 방문하는 참관객들의 교통편의를 위해서 서울역/용산역, 2호선 합정역과 KINTEX 전시장간의 무료셔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시회 개장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K-PRINT 홈페이지에서 8월 27일(월)까지 전시회 사전등록을 하면 전시회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상세한 안내는 전시회 주최 측인 한국이앤엑스 K-PRINT 2018 사무국(전화 (02)551-0102)이나 홈페이지(www.kprint.kr)를 이용하면 된다.
이용우 2018-08-16
기사제목
- 10월 30일~11월2일, 고양 킨텍스에서 13개 카테고리전시와 동시 개최- 대한민국 공군 군수사령부 부품 국산화,자동차 부품 시장 전망 세미나등 부대행사 강화한국전람(주)가 주최하는 ‘금속산업대전 2018’은 13개 카테고리 전문 전시회가 동시 개최되는 국제적인 무역전시회로, 오는 10월 30일(화)부터 11월 2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2~3홀에서 개최된다. △볼트,너트 △주조,단조 △레이저,용접 △도금,도장 △펌프 △알루미늄 △파이프 △3D기술 등 뿌리산업에 기반을 둔 전문 전시회로 자동차, 조선, 항공, 건설, 전자 등 국내외 산업시장의 최신 동향과 미래지향적 부품 산업을 전망하는 무역전시회로 한층 강화되어 선보일 예정이다.지난 1989년 볼트 너트 등 파스너 산업전으로 시작하여 1999년 5개의 전시회를 한자리에 묶어 “금속산업대전”이라는 통칭 하에 그 규모와 전문성을 확장하였고, 현재는 21,546㎡의 킨텍스 제1전시장 2홀과 3홀에서 13개의 카테고리 전시회를 품은 전문 산업전시회로 매회 거듭나고 있다.최근 산업은 경량화와 친환경을 지향하는 부품, 기계설비, 제품으로 빠른 변화를 이뤄가고 있으며 유기적인 연관성의 조합으로 좀 더 가볍고, 좀 더 효율적인 제품들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 전시회는 우수 기업들의 제품, 설비, 가공기기의 전시뿐 아니라 전문 부대행사로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KAP)의 자동차 산업 업종별 기술세미나 및 우수개선사례 △대한민국 공군 군수사령부 생산관리과에서 주관하는 항공무기체계 부품 국산화/정비능력개발 설명회 △(사)대한용접협회 주관 레이저 기술 응용 및 가공포럼 △한국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에서 주관하는 다이캐스팅 기술 세미나 △세계적인 다이캐스팅 기업 중 하나인 Oskar Frech 자동차의 알루미늄 박판 경량구조부품 세미나 △MELTEC Industrial Ofenbau GmbH에서 알루미늄 진공도징 기술세미나도 동시 개최하여 전시관람과 전문 세미나를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해외 국가관으로는 중국베어링협회와 중국파스너협회 회원사들을 대규모 국가관으로 유치할 예정이며, 인도에서는 Ministry of Commerce를 통해 30여개사가 ‘Make in India관’으로 참가할 예정이며, Exhibitor to Exhibitor와 Exhibitor to Buyer의 양방향 Match Making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예정이다.특히 해외 업체들과 국내업체들 간의 기술교류와 수출입 교류의 판로를 제시하고 사전 등록을 통한 바이어의 업체 소개와 네트워크를 개선하여 전시개막과 함께 활발한 교류를 추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전시장 내의 VIP라운지는 각 참가사가 추천한 우수 고객과 바이어를 대상으로 제한 운영하여 효과적인 상담을 이끌어 낼 것이며, 바이어가 방문을 원하는 참가업체에서는 공장 견학 등의 투어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참가업체모집은 현재 잔여 부스 판매로 막바지에 돌입하였고, 7월 말 부스배정과 8월 초 참가업체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참가업체신청관련 문의는 02-783-8261/070-4699-5934로 하기 바란다.참가신청 및 관람신청: 한국전람(주) www.korea-metal.com 
박애영 201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