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K쇼배너

전시/세미나/교육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기계산업이 경제활력 제고와 일자리창출 주도 다짐   한국기계산업진흥회(회장 정지택)는 지난 1월 9일, 63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국회 원혜영 의원, 이현재 의원, 김규환 의원,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을 비롯한 기계산업인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 기계산업인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좌측부터 대한기계학회 김완두 회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성일 원장, 한국기계연구원 임용택 원장, 국회 김규환 의원,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정지택 회장,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 KC코트렐(주) 이달우 회장, (주)신성솔라에너지 이완근 회장, 인아그룹 신계철 회장, 화천기계(주) 권영렬 회장이날 행사는 붉은 닭(丁酉)의 해를 맞아 우리나라를 세계 8대 기계류 수출국가로 이끈 기계산업인의 유대강화 및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다난흥방’과 ‘R&D’라는 2017년 기계산업인 사자성어 및 키워드 발표가 이어졌다.올해의 기계산업인 사자성어 및 키워드로는 ‘多難興邦’(다난흥방 : 많은 어려운 일을 겪고서야 나라를 일으킨다)과 ‘R&D’(기계류·부품·소재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혁신)가 제시되었다. 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스마트화, 융복합화를 통한 제조업 혁신으로 기계산업이 경제활력 제고와 일자리창출을 주도하자’는 의미로 어려운 시기에 국가경제의 중추 산업으로서 경제성장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더욱 많은 역할을 담당할 것을 대내외에 공표한 것이다.신년인사회에서 발표된 기계산업 실적 및 전망에 따르면, 2016년 기계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되어 수출이 전년대비 2.9%(453억불) 감소하였으나, 2017년에는 미국 등 선진국의 수요 회복에 힘입어 소폭인 1.5%(460억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올해는 미국, 일본 등 주요국 재정확장 정책과 유가상승에 따른 산유국 설비투자 재개로 기계산업 수출이 소폭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트럼프노믹스’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중국의 성장둔화 등 여러 변수로 당분간 회복세가 미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산업 실적과 전망≫     * 증가율은 전년대비 [2016년 실적] 수출 453억불 · 생산 : 101조원(2.3% 감소) · 수출 : 453억불(2.9% 감소) · 무역흑자 : 176억불 [2017년 전망] 수출 460억불 · 생산 : 102조원(1.6% 증가) · 수출 : 460억불(1.5% 증가) · 무역흑자 : 177억불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정지택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우리 기계산업은 중국, 유럽 등 글로벌 경기침체와 저유가에 따른 중동 수요 감소, 조선·해운업의 구조조정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세계 8위 수출 기계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지속해왔다”며, “올해 어려운 경제여건과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계산업이 제조업혁신과 일자리창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우리 기계업계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외 산업지형 변화에 대비하여 ‘설계기술 고도화 사업’과 ‘품질혁신 기반구축사업’을 비롯해 한국금형센터를 통한 첨단금형산업 육성기반 조성 및 시장 맞춤형 R&D 활동을 강화하고,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비하여 한국산업대전을 비롯한 국내외 전시회, 수출상담회, 시장개척단 파견 등을 통해 수출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비관세장벽을 넘기 위해 해외인증과 수출보증 지원책을 마련하는 한편, 한국기계거래소를 통해 유통, 수리 등 서비스부문을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하며, 기술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업계의 수요에 부응하는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우 2017-01-12
기사제목
사단법인 한국고무학회는 고무에 관한 학술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하고 고무과학 및 고무공업의 진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학술단체다. 본 학회는 1966년 4월 3일 한국고무공업기술협회 창립총회를 개최하면서 비롯되었다. 그 해 6월 26일 부산지부를 결성하고, 10월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 가입하였으며, 12월에는 협회지로 『고무기술협회지』를 창간하였다. 1971년 12월 협회의 명칭을 한국고무공학회로 개칭하고, 1978년 8월 29일 과학기술처로부터 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 이 학회의 주요 활동사항 및 업적으로는 국제고무회의(IRCO) 회원국이 되기 위하여 1990년부터 매년 회의에 참석하였고, 1992년 6월 26일∼27일 한국고무학회 주관으로 한일국제고무 심포지움을 개최함으로써 1992년 10월 23일에 준회원국으로 가입되었다.[ (사)한국고무학회 2017 정기행사 ]1. 춘계 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기간 : 3월 23일~24일(목~금)∙장소 : 인하대학교   ∙행사내용 : 초청강연, 학술발표, 우수논문상∙논문학술상∙ 우수포스터상 시상, 감사패 증정, 전년도 사업결과 및 재무보고, 간친회, 기타2. 제1차 고무기술 강좌   ∙기간 : 4월 20일~21일(목~금)∙장소 : 수원대학교∙강좌인원 : 약80명∙등록비 : (식비, 교재비, 강사료 포함)   가. 사전등록 - 회원 ₩280,000 / 비회원 ₩320,000 나. 현장등록 - 회원 ₩330,000 / 비회원 ₩370,0003. 제12회 고무분석기술 강좌   ∙기간 : 5월 25일~26일(목~금)∙장소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강좌인원 : 약80명∙등록비 : (식비, 교재비, 강사료 포함)가. 사전등록 - 회원 ₩280,000 / 비회원 ₩320,000나. 현장등록 - 회원 ₩330,000 / 비회원 ₩370,0004. 제47회 하계 고무기술 세미나   ∙기간 : 7월 6일~8일(목~토)∙장소 : 제주도∙참석인원 : 약130명∙등록비 : (숙박비, 식비, 교재비 포함)   가. 사전등록 - 회원 ₩450,000 / 학생 ₩350,000 / 비회원 ₩530,000나. 현장등록 - 회원 ₩530,000 / 학생 ₩410,000 / 비회원 ₩650,0005. 제2차 고무기술 강좌   ∙기간 : 9월 14일~15일(목~금)∙장소 : 전남대학교∙강좌인원 : 약80명∙등록비 : (식비, 교재비, 강사료 포함)   가. 사전등록 - 회원 ₩280,000 / 비회원 ₩320,000나. 현장등록 - 회원 ₩330,000 / 비회원 ₩370,0006. 추계 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기간 : 11월 9일~10일(목~금) ∙장소 : 경상대학교   ∙행사내용 : 초청강연, 학술발표, 한국고무기술인대상∙논문진흥상∙우수포스터상 시상, 감사패 증정, 차기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승인, 간친회, 기타
이용우 2017-01-09
기사제목
산업용 3차원 증강현실, 스마트 팩토리 및 매뉴팩쳐링 관련 정보 다뤄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는 지난 12월 15일(목) 오후 1시부터 5시30분까지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2016 스마트제조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코엑스,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스텝센터, 한국ICT융합네트워크, 전자부품연구원의 주최와 산업통상자원부의 후원, CAD&Graphics의 협찬으로 진행됐다.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김태환 회장은 “인더스트리 4.0과 관련하여 스마트공장을 비롯한 여러 이슈가 생기고 있다”고 언급하며, “최근 VR·AR·디지털 매뉴팩처링이 화두가 되면서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산업계에서도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어 이 기술들의 산업계 적용에 대해 이번 컨퍼런스에서 살펴보고자 한다”고 전했다.▲ 개회사 -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김태환 회장▲ 산업용 3차원 증강현실 시연 중인 커브서프 안성준 대표첫 번째 강의는 3D 데이터 프로세싱 기업인 커브서프(CurvSurf)의 안성준 대표가 맡았다. “산업용 3차원 증강현실”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강연은 2D AR과 3D AR의 차이점, 3D 측정, 3D 공간의 물체, 데이터 커버리지 등을 다뤘다.그는 2D의 특징으로는 ① 이미지 캡쳐 & DB 검색 ② 평면 감지 및 카메라 중심 ③ 정보 덮어쓰기, 3D의 특징으로는 ① 3D 캡쳐(RGB-D) ② 물체 인식 & 측정 ③ 물체의 모양, 크기, 위치, 회전을 들었다. 특히 그는 모든 사물은 모양, 크기, 위치, 회전이라는 네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커브서프는 이 속성을 이용하여 물체를 측정한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강의를 요약하며 “보는 것이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3D 스캐너가 사물을 찍는다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안에 담긴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해석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사람은 사물을 볼 때 자신만의 편견을 가지고 보게 되고, 자신이 있는 자리에서만 사물을 인식한다”라며 “컴퓨터는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도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인간의 우위에 있으며, 결국 3D 데이터 프로세싱 분야에서는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마지막으로 안 대표는 고글을 착용하고 강단에서 VR을 시연했다. 스크린을 통해 안 대표의 시야를 볼 수 있었는데, 그의 눈에 보이는 물체들을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측정하는 모습을 참석자들은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었다.▲ 지멘스 박세종 상무▲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이양수 대리▲ 다쏘시스템코리아 목종수 이사기타 주요 강연으로는 △현대중공업 홍진욱 주임의 “시뮬레이션 기반 조선소 안벽 운용 시스템 개발” △지멘스 박세종 상무의 “Digital Factory를 위한 Bill of Process 검증과 Production 정보와 Integration”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이양수 대리의 “중소·중견기업 불량감소를 위한 공정개선 기술 고도화” △다쏘시스템코리아 목종수 이사의 “스마트 매뉴팩처링과 인더스트리4.0 – CPS(Cyber-Physical System) 관련하여”가 있었다.이번 세미나는 첫 번째 세션이 끝난 다음 2개의 Track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Track A(디지털 매뉴팩처링)과 Track B(스마트팩토리 표준 튜토리얼)의 강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강민정 2016-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