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현대보테코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중국 폴리에틸렌 시장 동향

작성자 : 편집부 2024-09-03 | 조회 : 40

- 중국 2023년 폴리에틸렌 소비량 3978만 톤으로 지속 확대

- 기술 발전으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 다양한 제품 등장하며 적용 범위 확대

 

 

상품명 및 HS Code

 

폴리에틸렌(PE)은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진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합성수지이다. 여러 분야(포장, 자동차, 전기 등)의 필름, 튜브, 플라스틱 부품, 라미네이트 등 형태로 활용 가능하다. 폴리에틸렌 화학식은 (C2H4)n이다.

 

 

 

시장 동향 

 

폴리에틸렌은 5대 합성수지 중 하나이며, 중국은 폴리에틸렌의 생산량 및 수입량이 가장 큰 국가다. 폴리에틸렌은 습기에 강하고, 맞춤 제작이 쉬우며 내구성이 좋아 식품, 음료 및 소비재 포장에 사용된다.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폴리에틸렌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8% 증가한 2,807만 톤에 달했다. 소비량은 2023년 기준 3,978만 톤에 달해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1,171만 톤 초과했다.

 

중국 내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의 수입의존도는 비교적 높다. 특히 특수한 성능의 폴리에틸렌 제품일수록 더욱 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염소화 폴리에틸렌(HC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등과 같은 제품은 중국 내 생산이 제한적이어서 중국 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폴리에틸렌은 농업, 공업, 포장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2023년 기준, 중국에서 폴리에틸렌이 가장 높은 비중으로 사용되는 품목은 필름으로 약 58%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관(11%), 중공(中空) 제품*(12%), 사출(10%), 섬유(4%), 전선 케이블(3%) 등의 품목이 차지하고 있다.

* 골판지와 같이 판과 판 사이에 구멍이 있는 제품. 단열성과 보온성이 좋음.

 

최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수요량이 늘어나고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매우 높은 폴리에틸렌으로, 일반 제품보다 밀도가 높아 일반 폴리에틸렌보다 내마모성이 수십 배 강하다. 2023년 중국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총소비량은 전년 대비 54.4% 증가한 43만 톤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인다. 

 

주요 성장요인은 섬유 및 배터리 다이어프램(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의 필름) 제품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향후 5년 동안 에너지 저장 배터리와 전력 배터리가 계속 고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돼 배터리 다이어프램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의 가장 중요한 성장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동향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폴리에틸렌 수입액은 전년 대비 21.3% 감소한 34억9,700만 달러(약 4조8,316억 원)이다. 주요 수입 지역은 미국,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 카타르, 한국, 독일, 일본, 싱가포르, 태국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입 금액이 전체의 86%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8.4% 감소한 2억7,600만 달러(약 3,813억 원)로 국가별 수입액 6위를 차지했다.

 

 

 

경쟁 동향 

 

최근 중국 로컬기업의 생산 능력이 성장하면서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 중앙정부 산하 국유기업인 중국석유(中国石油)와 중국석유화학(中国石化) 두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각각 23.9%, 16.9%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두 기업은 2022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70만 톤 추가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확충하며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섰다. 다음으로 저장석화(浙江石化)가 1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옌창중메이(延长中煤), 중하이커파이(中海壳牌)가 각각 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이 외에 외자 합자 기업이 16.9%를 차지하며, 기타 기업이 21%를 차지한다.

 

 

 

 

 

 

 

유통구조

 

현재 중국 폴리에틸렌의 유통구조를 보면 생산기업에서 직접 판매와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판매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통업체나 대리점을 통한 판매도 이루어진다. 이 외에 화학 원료 상점과 같은 전문 매장에서도 폴리에틸렌이 유통된다. 온라인 판매의 경우 알리바바와 같은 대형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유통이 가장 많다.

 

 

 

 

 

관세 및 수입 규제

 

- 관세율

중국 폴리에틸렌 관세율은 일반세율이 45%이고, 최혜국이 6.5%이며, 한-중 FTA가 3%이다. 이에 관세율이 가장 낮은 한-중 FTA 무역협정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인증제도

폴리에틸렌은 중국 수입 시 별도 인증은 필요 없고, 통관 시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별도로 제출해야 한다.

 

 

시사점 

 

폴리에틸렌 제조기술이 개선되면서 제품 품질과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제품 밀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포장, 건축 자재, 전력 및 전력, 자동차 부품 등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이에 따라 수요도 증가했다. 

 

친환경 제품의 등장도 새로운 추세다. 환경 보호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폴리에틸렌 제품이 미래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 기반 폴리에틸렌이나 자연 분해가 가능한 폴리에틸렌 제품이 그 예시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업들은 친환경 제품 개발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내 생산이 늘고 있지만, 폴리에틸렌 수입의존도는 여전히 높으며 특히 고성능 제품의 수입 비중이 높다. 우리 기업은 이처럼 확대되는 중국 폴리에틸렌 시장에 대응해 고성능 제품과 친환경 제품 등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해 중국 시장 진출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 한국무역협회, 중국석유화학 뉴스(中国石化报),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