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기획특집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한양로보틱스는 KOPLAS 2023에 최신 신기술이 적용된 다관절 로봇들을 선보였다.비전·트래킹·모션 싱크 로봇한양로보틱스의 자동화용 주행 다관절 로봇 A 시리즈는 로봇 연동 기능을 통해 넓은 범위에서 여러 대의 로봇을 동시에 작업시킬 수 있다. 사출기 1, 2호기에서 뚜껑과 하부 부품이 성형된다면, 취출 이후 다음 공정을 연계, 뚜껑을 잡고 같이 가면서 하부제품과 조립한다. 즉, 양불 검사를 마친 부품이 비전 카메라를 통해 로봇에 전달되면, 전달된 데이터를 활용해서 제품의 모양에 따라 로봇이 쫓아가면서 제품 위치, 방향, 속도에 맞춰 조절해서 제품을 잡아나간다. 또 로봇이 서로 통신을 통해 로봇끼리 연계 작업을 시행한다. 한양로보틱스의 로봇의 경우에는 사출기와 로봇이 함께 사용되는 현장에 갑자기 사람이 나타났을 경우 인체 감지 기능으로 사람을 인식해 로봇이 멈추게 하거나, 또 간혹 노즐이 굳어서 막히면 불로 녹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처럼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곳에 화재감시 장치 기능을 도입, 화재 발생 시 알람을 보낸다. 이러한 기능은 로봇이 굳이 할 일은 아니지만, 한양로보틱스는 고객과의 파트너 개념 하에서 가능한 기술의 범위 내에서 사출 현장에 필요한 기능 및 시스템을 추가하고 있다. 최근 사출성형 현장에서는 직교 로봇의 적용 범위를 벗어나 2차 자동화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해 다관절 로봇의 적용이 늘고 있다. 하지만 다관절 로봇은 다루기가 쉽지 않다. 한양로보틱스는 현장 직원이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했으며, 더 나아가 AI 기능 학습을 통해 음성인식으로 작업 지시가 가능한 AI 음성인식 로봇을 국내 최초로 개발, 전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양로보틱스는 자동화에 필요한 지그 또한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표준화에 성공,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고 있다. 로봇 자동화의 성공 여부는 서보 모터, 에어 실린더 등 기본적이며, 여기에 지그 적용 및 은용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양로보틱스는 직교 로봇에서부터 하이브리드 다관절 로봇 개발에 이어 6축 다관절 로봇까지 순서대로 개발, 성장해왔으며, 이제는 음성지원과 연계 작업 등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해나가고 있다. ‘이제 로봇의 속도, 정확도, 가격은 의미 없다’며, ‘조립 등 2차 자동화를 통해 인력을 줄이고, 다관절 로봇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현장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용우 2023-04-09
기사제목
한국하이티엔은 이번 KOPLAS 2023 전시회에 Haitian drive를 적용한 사출성형기용 XTA 시리즈와 대형 톤수 사출성형기용 XTD 시리즈를 선보였다.Hilectro 시스템은 하이티엔 그룹 내 4대 주력산업의 하나로서 Electric Transmission Industry의 제조업체로 특화한 회사로서, 2010년 세계적인 로봇업체인 일본 Star Robot과 기술 제휴하여 신기술을 연구·발전시켜 왔으며,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올해 안으로 로봇의 종류와 모델명을 대대적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XTA 전축 서보 2배속 시리즈(적용 사출성형기: 60~1,300톤)의 2단 3축(5축) 서보모터 드라이버는 동작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포지셔닝, 제어가 용이하다. 또 고정밀 리니어 가이드는 고속 작동 시 정확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가능케 하고, 내마모성은 수명 연장을 실현하였다. 전후 및 주행 운동은 T형이고, Z축은 Dual-beam 구조로 취출 능력, 안정성, 견고함을 향상시켰으며, Z축은 2단식 디자인으로 사이클타임을 단축했다. 더불어 콤팩트한 디자인, 최적화 및 일체화된 캐비닛으로 공간의 최소화가 강점이다.XTD 전축 전후 구동 서보 시리즈(적용 사출성형기: 700~ 4,500톤)는 프레임식 구조를 벗어나서 동작이 더욱 유연하고 견고하여 적용되는 제품의 범위가 넓어졌다. 상하 Unit은 고강성 알루미늄 재질의 2단 디자인으로, 구조가 콤팩트하고 외관이 수려하며, 일본 SMC 실린더를 적용하여 밀봉성이 좋고, 에어 소모가 작으며 저렴한 A/S 비용, 긴 사용수명 등의 장점이 있다. 더불어 제품 취출 등의 동작 속도를 2배로 하여 사이클타임을 줄여 높은 생산효율이 가능하다.
이용우 2023-04-09
기사제목
에스엠텍은 이번 KOPLAS 2023에 중국 로봇 전문업체인 BORUNTE(보런트)의 AC 서보 주행 로봇과 함께 6축 다관절 산업용 로봇을 선보였다. 특히 에스엠텍에서는 전시 기간동안 다관절 로봇에 농구 골대를 부착, 연속적으로 골을 넣으면 경품을 주는 이벤트도 실시해 많은 참관객의 눈길을 끌었다.보런트는 2008년부터 유럽 엔지니어 기술진을 투입해서 로봇을 설계, 개발했으며, 직교 로봇관 다관절 로봇을 처음부터 같이 생산했다. 더불어 핵심부품을 모두 유럽, 일본 스타일을 적용 제작했으며, 디자인 부분이나 실린더 부분, 소재 하나하나가 유럽 스타일이다.에스엠텍 김현복 대표는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로봇 아이템에 관심이 많아 K, IPF, 차이나 플라스 등 해외 박람회에 많이 참관을 했었다”며, “하지만 독일과 일본 로봇의 가격대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을 것 같았고, 중국 로봇의 성장 속도가 무척 빨라 최종적으로 차이나 플라스 보런트 부스에서 한국총판 계약을 맺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취출로봇은 단순 취출 기능밖에 안 되어 취출기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에스엠텍에서는 ‘취출로봇’이라고 강조한다고. 이는 로봇 반경 안에서 고객들이 원하는 동작 구현이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고객에게 편리성과 활용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스엠텍의 슬로건 자체를 “보런트는 단순한 취출기가 아닙니다. 어떤 동작을 사용할지 몰라서, 모든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라고 정했다. 에스엠텍의 다관절 로봇의 가성비 측면에 강점이 있다. 로봇업계 선두주자 기업들의 기술적인 부분은 평준화되었다. 이에 본사에 어필하여 좋은 가성비를 갖췄다. 더불어 에스엠텍에서는 직원들을 중국 본사에 기술교육을 보내는 한편, 중국의 엔지니어들도 직접 한국을 방문, 정기적으로 교육을 하고 있다. 특히 보런트에는 다관절 로봇의 종류가 다양하다. 로봇의 스트로크와 가반 하중에 따라 라인업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성형업체들은 최근 4차 산업혁명, 스마트 팩토리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 있다. 에스엠텍에서는 단순 취출로봇인데도 불구하고 자유 프로그램을 통해 반조립 등 후가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계 한 대에 작업자 한 명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한사람이 여러 대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에스엠텍은 고객이 필요한 만큼 로봇 구동 반경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무한한 동작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장 로봇 작업자들이 직접 티칭해서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게끔 쉽고 편리하게 개발했다. 이것이 에스엠텍 보런트 로봇의 강점이다.
이용우 2023-04-08
기사제목
이번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었던 2023 제27회 국제플라스틱고무산업전(이하 KOPLAS)에 아비만그룹의 그룹사인 아비만엔지니어링은 사출 공정뿐만 아니라 첨단기술과 로봇, 자동화 분야의 오랜 기술력을 선보였다.특히 이번 코플라스 전시회는 최대 규모의 아비만그룹 부스에서 다양한 테마로 제품군을 소개했다. 그중에서 가장 반응이 좋았던 아비만엔지니어링의 6축 자유도 취출로봇 ART는 국내 취출로봇의 기술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았다. 아비만의 6축 자유도 취출로봇 ART는 선회방향과 툴 회전 자유도에 제약이 없고, 직관적인 직교 취출로봇과 동일하게 위치, 방향의 조작 및 설정이 가능하다.요즘 4차산업으로 가장 핫한 협동로봇과 팔렛타이징/디팔렛타이징의 핵심 기술을 코플라스 전시 현장에서 볼 수 있었다. 3D 비전과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Piece Picking은 마구 섞여 있는 어떤 물체라도 정확하게 집어내어 분류하는 기술로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이번 KOPLAS 전시에서는 관람객과 어린이들에게까지 이해하기 쉽게 로봇이 직접 분류하고 쇼핑백에 포장까지 한 과자를 나눠주는 행사를 진행했다. 또한 이번 코플라스 전시장에서는 보다 사용자에 맞춰져 기존 직교 로봇에서는 불가능했던 동작 자유도를 구현한 고속 고정밀 취출로봇으로 GIGA PLUS가 시연되었다. 직교 취출로봇과 동일한 수동 조작 및 티칭 방식으로 무엇보다 작업자와 사용자의 편리성을 기반하여 제작된 아비만엔지니어링의 취출로봇 GIGA PLUS는 기존 모터보다 가볍고 컴팩트한 구조 1축~4축의 다양한 라인업 구비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아비만 엔지니어링㈜은 사출 공정 최적화 설비의 첨단기술과 로봇, 자동화 분야의 축적된 노하우를 확보하며 뜨거운 열정과 도전 정신으로 고객의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영역을 확장해왔다. 앞으로 더욱 원활한 고객 응대와 해외 시장으로의 적극적인 진출, 글로벌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해나갈 것이다.
이용우 2023-04-08
기사제목
2023 Koplas 국제플라스틱·고무산업전에서 ㈜나우로보틱스는 NURO Series, NURO X Series, NUCA Series, NUGO Series를 전시했으며, 더불어 사출기 메이커 부스에서 성형공장 현장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다양한 산업용 로봇자동화시스템을 선보였다.나우로보틱스는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여 부스 안에 다관절 로봇, 직교 로봇, 스카라 로봇, 물류로봇까지 전시했으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직교 로봇과 다관절 로봇이 4개의 나우로보틱스 로고 박스를 주고 받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NURO Series(직교 취출 로봇)는 최적의 플라스틱 사출이 가능한 NC형 핸들링 전축 서보 직교 로봇으로, 최적화 설계를 통해 다양한 사출 환경에 접목할 수 있다. 기존 직교 로봇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량화, 프로그래밍, 스마트 등 세 가지의 콘셉트를 바탕으로 플라스틱 사출성형의 공정을 쉽고 빠르면서도 스마트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작된 직교 로봇 뉴로(NURO)는 사출 현장 공간을 반영해 기존 로봇 대비 한층 가볍고도 슬림화 된 형태로 제작되어 로봇을 설치할 때 겪는 공간적인 문제에 대한 어려움을 최소화했다는 점에 강점이 있다. 또 NURO X Series(다관절 로봇)는 어려운 다관절 로봇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전문가도 운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 현장에서는 그동안 직교 로봇을 이용하여 인서트와 취출 작업만을 자동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사출 과정과 금형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단순히 원재료 삽입과 제품을 꺼내는 1차 작업만 자동화하는 것은 생산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는데, 이것은 사출기에서 취출 과정을 끝마친 후 추가적인 가공 작업의 일환으로 커팅 등을 진행하거나 적재, 이송 등 팔렛타이징과 연계하는 과정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나우로보틱스에서는 기본적인 인서트와 취출뿐만 아니라 2차 후공정 작업까지도 함께 다룰 수 있는 뉴로 엑스를 선보였다. 더불어 나우로보틱스 기업부설 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UI/UX 프로그래밍을 적용해 ‘쉬운’ 다관절 로봇으로 제작된 이 제품은 아이콘 형태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래밍을 개발해 사용자들이 로봇에 쉽게 적응하면서도 현장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이와 함께 나우로보틱스는 다수의 E.O.A.T 취출 지그 Application 구축 사례와 기술력을 보유한 전문 기업으로, 숙련된 엔지니어가 복잡해지는 사출 금형 및 제품 구조를 빠르게 파악하여 맞춤형 E.O.A.T를 설계하고 application의 예상 주기와 시스템 부하 제한 등을 정확히 계산하여 솔루션에 반영하고 있다.
이용우 2023-04-08
기사제목
- 취출기, 취출로봇에서 탈피, 2차 자동화까지 만능로봇으로 변신이번 KOPLAS 2023 전시회에서 참관객들의 시선이 가장 집중된 부스들은 로봇업체들이었다.80, 90년대를 지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 성형업체에 등장하기 시작, 그동안 많은 성장을 해왔던 취출로봇들의 변신이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반가웠다. 사출성형기 출품 부스마다 사출기와 로봇 자동화 시스템이 연동되어 가동되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로봇 자동화 업체 또한 기존 취출로봇의 권역을 뛰어넘어 후가공 공정으로 이어지는 2차 자동화 시스템을 보여줌으로써 관람객들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었다.외형 부분에서부터 직교 로봇과 더불어 다관절 로봇의 적용이 많이 늘었고, 고 스피드, 고정밀 등의 부분에서 외산 로봇과 대등한 기술력 향상, 그리고 이제 취출 기능을 넘어 인서트, 커팅, 버닝, 검사, 조립 등 성형 전후의 2차 자동화 연계 시스템까지 확장함으로써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인력난 해소, 인건비 절감, 안정적 생산, 양품 선별 등 품질 향상에 이르기까지 다목적 로봇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특히, 각 로봇업체의 부스뿐만 아니라 사출성형기 메이커 전시장에 협업을 통해 사출기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제품을 자유자재로 컨트롤하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였다.이제 속도, 정밀도를 비롯해 여러 첨부된 기능 등 취출로봇의 기술력 차이는 업체별로 대등 소이 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얼마나 사출성형 현장이 필요로 하는 기능에 대한 로봇의 활용도, 맞춤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능력과 또 얼마나 편리하게 작업자가 사용할 수 있게끔 지원할 수 있는지가 고객들이 눈여겨볼 부분이라 생각된다. 인력난 해소와 인건비 상승 속에서 품질 유지를 지속해나가야만 생존할 수 있는 성형업체에 누가 어떻게 최적의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느냐가 앞으로 관건이 될 것이다. 이에 이번 KOPLAS 2023에 출품한 업체별 로봇 시스템을 돌아보았다. (업체 순은 가나다순임.)
이용우 2023-04-08
기사제목
우수한 기술력으로 생산효율성 UP!!한국하이티엔, 플라스틱 종합 엔지니어링으로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단순한 총판 개념에서 벗어나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토탈 서비스 업체로서 우뚝 선 ㈜한국하이티엔(이하 한국하이티엔)이 우수한 품질로 평가받고 있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라인업을 지난 2023년 3월 14일(화)부터 18일(토)까지 5일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 제27회 국제 플라스틱·고무산업전시회(이하 KOPLAS 2023)에서 선보였다.고객 중심의 마인드와 기본과 원칙에 준하는 엄격한 사후 관리 및 품질 관리로 다져진 동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복합 전동 사출성형기(ZE Series) ZE9000/5200과 직압식 사출성형기(JU Series) JU7500/5330, 이중 사출성형기(IA Series) IA1600B-J, 하이브리드 초고속 사출성형기(MA/F Series) MA3800/1280F 그리고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MA/GⅡ Series) MA2500GⅡ를 출품했다.로봇 자동화와 결합된 플라스틱 종합 엔지니어링 선보인 한국하이티엔!세계 판매 1위 사출성형기 기업인 하이티엔의 한국 판매법인인 한국하이티엔이 KOPLAS 2023에서 동사 설립이래 최대 규모의 부스 면적과 기종을 출품해 화제를 모았다.우수한 기술의 사출성형기 외에도 로봇 자동화와 결합된 플라스틱 종합 엔지니어링을 모토로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이 이번 전시회에서 독일 Zhafir 기술의 복합 전동사출기인 복합 전동 사출성형기(ZE Series) ZE9000/ 5200를 선보여 참관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ZE9000/5200은 일반 유압 사출기 대비 에너지 소모를 50~70%가량 절감하고, 사출, 계량, 형체, 에젝타, 노즐-서보모터를 적용한 제품으로 우수한 내구성으로 오랜 기계 수명 및 높은 안정성으로 친환경적으로 기계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정현 영업 전무이사는 “전자제품 트레이를 시연한 ZE9000/5200은 특히 금형 체결방식에서 마그네틱 클램핑을 채택하고 있어 사출을 할 때 모든 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모든 범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며, “이 기술 역시 하이티엔에서 직접 제작해 브랜드화하고 있다”라고 전했다.한국하이티엔은 또한 유럽 기술을 기반으로 20년 이상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제작된 기술집약형 모델인 직압식 사출성형기(JU Series) JU7500/5330도 전시했다. 터글 방식이 아닌 투 플레이트 방식으로 된 이 사출성형기는 전 기종 금형 교환이 용이한 타이바 레스 타입으로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하이브리드 초고속 사출성형기(MA/F Series) MA3800/ 1280F에 대해 김 전무는 “500mm/s의 최대 사출속도가 가능한 제품으로 초고속 동작이 가능한 고강성 형체 구조이며, 계량 복합동작으로 사이클 타임을 감소시켰다”라며, “사출부 LM 가이드 및 더블실린더 적용으로 안정적인 고속 사출이 가능한 제품으로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1회용 용기 사용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생산성 증가를 위해 사이클과 사출속도를 기존 제품보다 약 20%가량 증가시킨 사출성형기이다”라고 설명했다.그 외에도 한국하이티엔에서는 이중 사출성형기(IA Series) IA1600B-J와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MA/GⅡ Series) MA2500GⅡ를 출품했는데, 이중 사출성형기(IA Series) IA1600B-J는 터글식으로 와이드 형판을 장착한 턴테이블 구조로 분할 금형에 주로 적합(금형 프레임 2개+캐비티 2개)하고, 이색 및 상이한 재료 사출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유축기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을 사출 시연하며 참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또한,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MA/GⅡ Series) MA2500GⅡ는 타사 유압 사출기 대비 전력 소모를 20~80%가량 절감 가능하며, 기존 유압 설비와 비교해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켰다. 그 외에도 0.05초만에 최대 출력에 도달이 가능하고, 다양한 성형 응용시에도 안정적인 클로즈드 루프(Closed loop) 서보 구동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김 전무는 “최근 전반적으로 인건비 상승, 공정 개선 등을 목적으로 다관절 로봇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한국하이티엔에서도 고객분들을 편의성을 위해 다관절 로봇을 비롯해 취출로봇, 제습기, 분쇄기 등 주변기기를 취급하며, 토탈 솔루션을 지향하고 있다”라며, “주변기기 사업부를 운영하며, 당사의 사출성형기와 함께 턴키(Turn key)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좀 더 편하게 상담하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국하이티엔, 진보된 기술력과 고객서비스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에 나서“한국하이티엔은 최근 자동차 1차 벤더 위주로 대형 사출성형기가 주로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동사출성형기 선호도가 높은 편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라는 김 전무의 설명처럼 COVID-19 위기 속에서도 한국하이티엔은 꾸준한 성장을 거듭해왔다.이어 김 전무는 “당사에서는 지속적으로 초대형 분야로 영업 포커스를 맞춰 시장을 돌파할 계획이며, 보다 적극적으로 기존 시장 확보에 집중할 생각이다”라며, “이미 한국하이티엔의 사출성형기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은 고객분들께서도 충분히 알고 계시지만, 밸류업(Value Up)을 통해 생각하시는 것보다 더욱 우수하다는 점을 어필하고자 한다”라고 전했다.한편, 한국하이티엔은 지난 2022년에 사출성형기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그 즉시 구매까지 가능한 종합 판매 솔루션이 구축된 사출성형기 백화점인 I.J 쇼핑몰을 오픈해 화제를 모았다. I.J 쇼핑몰에서는 사출성형기에 필요한 모든 주변기기를 비롯해 오토 피딩(Auto Feeding) 시스템까지 경험해 볼 수 있어 사출성형인들의 관심을 한껏 끌어모으고 있는 중이다.또한 동사는 최근 Best Technology Service의 약자인 ‘BTS 미리팀’이라는 서비스팀을 신설하며, 다시 한 번 사출성형업계에 센세이션(Sensation)한 바람을 몰고 왔다. ‘최고의 기술 서비스는 미리 찾아가서 행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BTS 미리팀은 즉, 기존의 A/S 개념을 탈피해 미리 찾아가는 서비스로 고객들의 만족도를 더욱 높이겠다는 한국하이티엔의 의지가 반영됐다.한국하이티엔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고객들을 위한 A/S 대응에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BTS 미리팀처럼 전담팀은 아니지만 기술부 직속 ‘해외 5분 대기조’를 운영해 해외에 있는 고객들도 신속하게 A/S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해외 5분 대기조에는 중국어, 영어 등 외국어가 가능한 엔지니어들이 사출기, 로봇, 주변기기 등 파트별로 선발돼 운영되고 있다. 단순히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것이 아닌, 언제나 혁신적인 서비스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종합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한국하이티엔은 이번 KOPLAS 2023이 동사가 다시 한 번 재도약을 하는 발판이 되었다고 밝혔다.문의: ㈜한국하이티엔 032-327-1891 www.haitian.kr
이명규 2023-04-05
기사제목
‘ESG’, ‘Digital Transformation’ 사출성형업계를 향한 LS엠트론만의 실용적이면서도 스마트한 솔루션! 지난 2023년 3월 14일(화)부터 18일(토)까지 5일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 제27회 국제 플라스틱·고무산업전시회(이하 KOPLAS 2023)에서 LS엠트론㈜(이하 LS엠트론)가 실속 있고, 실용적인 전시로 고객에게 더욱 성큼 다가갔다.ESG, Digital Transformation라는 시대적인 트렌드에 따라 고객사들이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LS엠트론만의 솔루션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이번 전시회에서 동사는 친환경, 고생산성 솔루션이 접목된 사출성형기를 소개하며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이에 사출성형업계에서는 플라스틱에 대한 친환경적인 접근을 통해 LS엠트론만의 친환경과 관련된 특수 공법들(다색, 발포 등)은 물론, Digital Transformation에 맞는 AI 기술을 선보였다는 평이다.사출성형업계의 친환경적인 스마트 솔루션, LS엠트론과 함께!최근 플라스틱 업계의 공동 과제는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에코 프랜드리(Eco-Friendly)로서 모두 ESG 경영으로 맥을 이루고 있다. 이에 LS엠트론은 디지털 솔루션을 통해 사출 업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솔루션관을 설치 운영하며 스마트 상품들의 전시뿐만 아니라, 고객들이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체험관을 마련해 참관객들이 Industry 4.0에 부합하는 LS엠트론만의 스마트 솔루션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LS엠트론에서는 WIZ 900 PMC, WIZ-170 T Plus, the ONE*-130E, WIZ-280E Plus, the ONE*-280E, WIZ 150 VR을 출품했는데, WIZ 900 PMC는 샌드위치 공법이라는 기술을 통해 표면층에는 신재를 사용하고, Core층에는 재생재를 사용해 외관 품질 및 제품 강성면에서도 견실한 전기차 내장재를 사출 시연하며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WIZ-170 T Plus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된 LS엠트론만의 AI 기술을 적용해 신재+재생재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사출환경을 구현했다. 사출기에 연동된 중량측정기로 성형품의 중량 변화를 감지해 기계가 스스로 정상중량으로 조건을 변경하는 인공지능 중량 제어 시스템(AI Weight Control) 기술을 접목한 WIZ-T Plus 170으로 스파이럴 시편 금형을 사출했다.초고속 패키징 프리미엄 전동사출성형기 the ONE*-130E는 4 cavity 용기를 2.8초에 안정적으로 성형함으로써 높은 디자인 재현성과 고정밀 사출로 완벽한 표면 처리 기술을 선보였으며, 최근 자동차를 비롯한 각 산업군에서 이슈인 제품 경량화 조건은 물론, 발포성형을 구현하고, 성형성과 에너지 절감 측면 모두를 만족시키는 초미세 발포성형(Microcell-ular foam) MuCell®을 적용한 WIZ-280E Plus의 신제품을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그 외에도 LS엠트론에서는 ONE*-280E로 제품 표면에 라벨지를 부착하는 후공정을 사출공정 안에서 구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물품의 이송 및 부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Loss)을 줄일 수 있는 공법인 In-Mold labeling 공법을 선보였으며,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전을 위해 개발된 저상형 수직사출기인 WIZ-150VR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정밀성 측면에서도 기존 수직 사출기와 차별화된 성형 능력을 제시했다.LS엠트론,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경쟁력 강화로 글로벌 리더를 향해 나아갑니다!LS엠트론은 COVID-19 사태로 인한 경제의 위축상황에서도 2021년과 2022년 정신없이 바쁘게 보냈다. 2019년부터 운영효율을 높이는 꾸준한 투자와 활동을 통한 LS엠트론의 사출사업이 급격한 성장을 해왔기 때문이다. LS엠트론의 박규천 과장은 “미국을 포함한 Global 수주가 급증하며, 본사, 중국(MW), 북미(IU) 등 모든 법인이 영업, 개발, 생산, 품질, 서비스 전 영역에서 동일한 시스템 안에서 움직여 이에 대응했다”라며, “이러한 대응으로 올해 역시 어려운 환경이 예측되는 가운데에서도 성장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라고 2023년 포부를 밝혔다.이어 “올해에는 침체된 국내시장 환경 속에서도 고가시장 및 특수기 시장의 확대와 해외 매출 증가를 통해 달성할 계획이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꾸준하게 준비해왔던 법인설립, 판매법인(DJA) 인수와 거물급 인사들 영입이 매출 성장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탄탄한 제품력과 더불어 고객과의 협업솔루션, 그리고 Industry 4.0을 선도하는 LS엠트론만의 CSI(Connected Smart Injection)로 스마트한 사출성형을 구현하고 있는 동사는 연구개발 측면에서 올해에는 신규 개발품의 런칭이 우선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수직형 사출성형기 line-up으로 그동안 미진입시장이었던 수직형 사출기 시장을 본격적으로 진입할 것이며, 또한 전동식 프리미엄 the One*-E가 시장으로부터 호평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한, LS엠트론은 고객 솔루션 제품 개발에 주력하며, 제품적으로는 대형 유압 다중 다색 사출기 모델을 확대하고, 스마트 상품 중에서 부품진단 서비스를 개발 예정이라고 밝혔다. Smart Machine, Smart Product, Smart Service 상품 순으로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부품진단 서비스가 최종의 상품이 될 것이며, LS엠트론의 차별화된 솔루션 제공으로 고객과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LS엠트론은 지난해 준공을 시작해 4월부터 제2공장을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늘어나는 물량을 소화하고 Global 생산 기지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문의: LS엠트론㈜ 사출사업부 공식 홈페이지: www.lsinjection.com
이명규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