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hpf미네랄스
현대보테코
K쇼배너

기획특집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새로운 시장에 날개를 펼친 Stork - Billion, 기술센터에 재활용 콘텐츠 시험용 사출기 추가  새로운 시장에 날개를 펼친 Stork​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Stork Plastics Machinery BV.의 신규 사업 개발 책임자인 Wim Brinkman에 따르면, 유럽에서 사출성형기 판매가 둔화되면서 ‘쉽지 않은 시기’이지만 사출기 성능과 자동화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Brinkman은 “우리는 여전히 기계를 팔아서 불평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기 있는 모든 사람들처럼 우리도 더 나은 경제적 전망을 원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쟁과 인플레이션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고객은 투자를 철회했습니다. Brinkman은 “보통 사람들은 가까운 미래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투자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금 이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를 꺼리거나 투자에 대해 두 번, 심지어 세 번 생각하고 있습니다”​   Brinkman은 Fakuma 2023에서 Plastics News와의 인터뷰에서 Stork 관계자들이 “매일 기계를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에 집중하는 동시에 기계를 판매할 새로운 장소를 찾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쇼에 전시된 최신 개발 제품인 S 시리즈 사출성형기의 재설계된 이동형판을 지적했습니다. Brinkman은 “더 나은 안정성과 강성을 위해 형판에 힘을 더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재설계했으며, 이를 통해 금형의 기대 수명이 더 길어지고 제품의 품질도 높아졌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Stork는 또한 식품 및 의료 응용 분야를 위한 크로즈드 루프 윤활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Brinkman은 “우리는 형체 장치에 오일을 넣는 시스템과 조인트에서 오일을 빼내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오일이 윤활 시스템을 통해 여과되고 재생됩니다. 더 이상 폐유가 없습니다” 오일을 보충하고, 청소하고, 윤활 시스템에 다시 넣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Brinkman은 “이렇게 하려면 식품 패키징에서 오는 요청에 따라 기계에 많은 적응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Stork 엔지니어들은 회사가 현재 개발 중인 완전 전동식 기계 제작을 준비하는 동안 안정성과 유지 관리를 위해 사출 장치에 레일 가이드가 있는 사출 장치를 재설계했습니다. ​   세 가지 새로운 옵션​   재료 변화에 따라 조정되는 소위 금형의 숨쉬기를 측정하는 센서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형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도 발전했습니다.​   그런 다음, 재료를 금형에 사출하는 데 필요한 노동력 관점에서 모든 사출을 측정하는 STIC(Stork Total 사출 제어)라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있습니다. Brinkman은 “우리는 노동력에 영향을 주는 압력과 사출 속도를 계산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동일한 사출에서 우리는 모든 제품이 정확히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속도, 압력 및 보압 위치를 조정합니다. 이것은 재생재를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습니다“​   모든 산업계에서는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분쇄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지만, 재료의 용융 흐름 지수는 크게 변동합니다. 기계는 STIC 프로그램을 통해 지수의 균형을 맞춥니다. “용융 흐름은 재생 재료에 따라 변동이 심합니다. 0.15초의 사출 시간으로도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라고 Brinkman은 사출 구간에 대해 말했습니다. “동일한 샷에서 균형이 잡혀서 모든 제품이 좋습니다. 5번의 샷 후에 다음 제품이 아닙니다” 화분, 상자, 통 및 재분쇄된 기타 제품을 생산하는 플라스틱 가공업체가 초기 수용자 중 하나입니다.​조직적인 측면​   Stork는 북미 판매를 하기 위해 미국 기반 판매 관리자를 고용했으며, 2024년 1분기 설치 및 서비스 계획을 진전 중입니다.   한편, 유럽에서는 직원들이 더 많은 서비스 및 판매 조직과 협력하여 스페인, 프랑스, 스칸디나비아 등 네덜란드에서 더 멀리 떨어진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사업이 잘되고 있고, 아프리카에서는 정말 좋습니다. “우리의 아프리카 사업은 현재 최고의 사업입니다. 그들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라고 Brinkman은 말했습니다.   Stork는 또한 최근 남미에서 서비스 및 판매를 시작했으며, 그곳의 방문객들은 Fakuma 전시회를 방문했습니다. Brinkman은 “이것은 내가 올해 했던 가장 유망한 방문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남미 기업의 품질과 그들이 이야기하는 프로젝트에 놀랐습니다”​   전체적으로 신임 사업 이사는 “우리는 날개를 펼치고 확장하고 있으며 미래가 기대됩니다. 더 나을 수도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낙관적입니다. 우리는 시야를 넓히고 있으며 이는 항상 좋은 일입니다” ​   Billion은 기술 센터에 재활용 콘텐츠 시험용 사출기 추가​   프랑스 Bellignat에 본사를 둔 Billion SAS는 더 많은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고객을 위한 제품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800톤 GM 모델 사출기를 곧 인도받을 예정입니다.사출성형기 제조업체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순수 재료 층 사이에 산업용 또는 소비 후 재료 층이 끼워진 제품 테스트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프랑스 Oyonnax에 있는 기술 센터에 자체 중형 사출기 중 하나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Billion의 Georg Kiesl 총괄 이사는 Fakuma 2023에서 “화장품 및 패키징 산업은 외부 표면이 깨끗하고 X만큼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기를 원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공정을 사용하면 재생재의 40%를 사용할 수 있지만 겉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최근까지 샌드위치 레이어와 관련된 프로젝트에 대해 금형 시험의 약 20%가 수행되었습니다. 지금은 아마도 80% 정도라고 Kiesl은 말했습니다. “우리 기술 센터에 800톤 기계를 추가하여 바닥 타일이나 지붕 타일과 같이 주로 건축에서 나오는 재생재를 사용하는 대형 부품에 대한 시험을 수행했습니다. 시험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라고 Kiesl은 말했습니다.​   샌드위치 기술의 경우 Billion 사출기에는 0.7㎜까지 초박막 부품을 생산하도록 설계된 특수 노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Kiesl은 “우리는 다른 성형업체와 경쟁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왔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일부 대형 고객이 와서 여러 곳에서 금형을 시험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오더니 내부에 가장 많은 재분쇄물을 담을 수 있다고 하더군요”​Select 2 출시​   Fakuma에서는 차세대 완전 전동 Select 머신 시리즈인 Select 2 시리즈가 소개되었습니다. 이 사출기는 오버 몰딩 및 샌드위치 기술용으로 설계되었으며 단독 및 이중 샷 모델로 제공됩니다.​   무역 박람회의 Select 200 T 사출기는 샌드위치 공정을 사용하여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으로 비치볼 라켓을 만든 다음 핸들을 오버 몰딩하고 인몰드 디자인에 라벨을 붙이는 작업을 세 번에 걸쳐 진행하는 자동화된 생산 셀입니다.​   Select 2 시리즈 사출기는 아직 모든 것이 아닌 특정 톤수에 대해 출시되고 있다고 Kiesl은 말했습니다. 두 기계 시리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에너지 소비, 크고 부피가 큰 하중을 처리하기 위한 형체 장치의 변경, 볼 스크류의 지속적인 윤활입니다.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Kiesl은 “우리는 기계의 클램핑 장치에서 저항을 제거했습니다. 이동식 플래튼은 실제로 타이 바 위에서 미끄러지므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약간의 마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기계는 또한 더 많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더 빠른 사이클 시간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Fakuma에서는 두 개의 사출 장치가 신 재료와 재활용 재료를 함께 가져옵니다. 새로운 재료가 먼저 금형에 사출되어 부품의 바깥쪽을 덮습니다. 두 번째 재료는 부품 중앙에 사출됩니다. 그런 다음, 새 재료를 두 번째로 사출하여 금형을 닫습니다. 그 후 Billion의 플러그 앤 플레이 사출 장치를 통해 세 번째 재료가 사출됩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가 라켓 핸들에 오버 몰딩되어 부드러운 촉감과 손쉬운 그립감을 선사합니다.성형업체이기도 한 파트너 MIHB의 인몰드 라벨링 기술은 부품에 통합된 고품질 장식을 제공하는 동시에 접착 라벨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을 완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몰드 라벨링, 한 캐비티에서 다른 캐비티로의 부품 이동, 최종 부품 취출은 로봇에 의해 처리됩니다.​   Billion 사출기는 더 큰 형판 크기와 더 넓은 타이바 간격을 갖추고 있어 기계 내부에 복잡한 금형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우리는 덜 제한적이며, 이는 우리가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형판 크기 측면에서 우리는 해당 톤수의 전동 기계 업계에서 가장 큰 회사 중 하나입니다”라고 Kiesl은 말했습니다.​   재활용품 취급이 많은 플라스틱 가공업체에서는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재생재를 사용할 수 있는지 묻고 있습니다. 양을 최대화하기 위해 Select 2 사출기에는 배럴의 재료 점도를 측정하고 사출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Easycontrol 브랜드 시스템이 있습니다.   Kiesl은 “많은 고객이 특정 날짜까지 프로젝트의 재생 비율을 40%로 늘리려는 하향식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재분쇄는 특성에 따라 배치마다 다르며, 일부가 외부에 방치된 경우 온도도 다릅니다.​   “재료의 유동성에 따라 오버샷이나 언더샷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품이 잘 완성되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기계는 용융 수지가 배럴 내부에 얼마나 잘 들어 있는지 측정하고 직접 조정합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매우 독특합니다. 동일한 사이클 내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측정하고 즉시 조정합니다. ​   다른 많은 시스템에서는 이를 측정하고 다음 사이클에 조정합니다. 그래서 당신은 항상 조금 뒤처져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Kiesl은 2023년은 조용한 한 해였지만 2024년에는 판매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2021년은 우리에게 정말 좋은 한 해였습니다. 2022년이 되어도 우리는 그 수요를 처리하고 있었고, 여전히 어느 정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2022년 말에 이르러 상황이 둔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2023년은 의심의 여지없이 둔화였습니다”라고 Kiesl은 말했습니다.   그는 대부분의 표준 장비를 공급하는 중국 기업을 향한 시장 추세를 보고 Billion이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안도합니다. “다행히도 우리에게는 덜 감동적이지만 업계 전체에 대해 이야기하면 느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라고 Kiesl은 말했습니다. “소형 단순기계의 상당수가 지금은 중국 기계이고, 예전에는 다른 제조사의 기계였습니다”​   그는 2024년을 내다보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습니다. “우리가 표준 장비와 자동차 산업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샌드위치에 대한 추진과 그곳에서 볼 수 있는 수요에 대해 매우 편안하다고 느낍니다. 화장품 패키징처럼 전통적으로 우리와 함께 강세를 보였던 시장이 이를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Billion은 멀티샷과 같은 부가 가치 애플리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Kiesl은 “저희는 저가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가치 기반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Billion은 또한 더 많은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   Kiesl은 “우리는 프랑스와 유럽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영국은 우리에게 아주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특히 리쇼어링이나 니어쇼어링 추세를 통해 북미, 특히 멕시코로 더 많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캐나다는 우리가 더 많은 현지 생산을 원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
취재부 2024-06-23
기사제목
- 더 높은 자동화 수요에 대비하는 Brink- 이정표를 세운 Milacron- 새로운 시장에 날개를 펼친 Stork- Billion, 기술센터에 재활용 콘텐츠 시험용 사출기 추가​    플라스틱 가공을 위한 제28회 Fakuma 국제 무역 박람회는 2023년 10월 17일부터 21일까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12개의 전시장과 여러 로비 공간 등 85,000평방미터의 전시 공간에 1,636개의 전시업체(2021년 마지막 Fakuma보다 10% 증가)가 참가한 무역 박람회에는 39,343명의 열정적인 전문가들이 방문했다.   특히, 전통적으로 많은 방문객의 관심을 끌어온 사출성형 관련 업체들이 이번 전시회에서도 시선을 끌었다. 이에 핸들러에서는 지난 2023년 12월호를 시작으로 2024년 3월호까지 4회에 걸쳐 핸들러와 업무협약을 맺고 있는 Plastics News 사의 Show Daily에 게재되었던 세계 유수의 사출성형 관련 대표 메이커의 기사를 모아 연재함으로써 글로벌 사출성형업계의 현황을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더 높은 자동화 수요에 대비하는 Brink​   네덜란드 금형 제조업체인 Brink BV는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 수요의 지속적인 성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금형 제조업체이자 자동화 공급업체인 이 회사는 Fakuma 2023에서 새로운 센서 기능과 “Brink 대시보드”라고 부르는 플랫폼을 선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1963년에 설립된 Harskamp에 기반한 회사에 좋은 한 해였습니다. Brink는 네덜란드에 있는 7개 시설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300명 이상의 직원이 70개국 이상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 회사는 인몰드 라벨링(IML)을 적용한 Fakuma의 박막 패키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2023년은 회사에게 좋은 해였다고 국제 영업 관리자인 Maarten Vos가 전시회에서 말했습니다. Vos는 “우리의 금형 제작 사업은 올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 부문에서 큰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Fakuma에서 Brink는 Stork가 제작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3초 이내에 박막 화분을 생산하는 시연에 참여했습니다.   Vos는 “그 금형에는 새로운 개발이 있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금형 열림을 측정하는 디지털 센서를 금형 내부에 갖고 있습니다. 모든 것은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과 일치합니다. 우리는 감정이 아닌 사실과 숫자를 통해 매개변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더욱 디지털화하고 있습니다.”이 회사는 작업자의 공석을 채우는 데 문제가 있는 플라스틱 가공업체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비전 카메라 제어 및 박스 충진 자동화를 강조했습니다.   Vos는 “자동화를 통해 더 이상 인력이 필요하지 않은 방향으로 전진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우리는 시스템을 사출성형기와 연결하고 있으므로 직원이 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동으로 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Brink는 또한 생산에 연결되는 제어 및 대시보드에 대한 주문을 더 많이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고객이 자동화 시스템, 사출성형기 및 금형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그린 대시보드’를 도입했습니다”라고 Vos는 말했습니다. “서비스가 필요한지, 문제가 있는지, 시스템이 실행되지 않는 이유, 정지된 이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에는 비디오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습니다. Vos는 “카메라는 로봇이 멈추는 특정 시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비디오로 보여주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도 모니터링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업계 파트너인 Arburg와 함께 Brink 금형 및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IML을 적용한 사출 압축 성형을 시연했습니다. Vos는 “보통 초 박막 금형에 사출하므로 고압, 빠른 속도의 사출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제 금형을 10분의 1㎜ 정도만 열고 사출하면 됩니다. 전체 제품의 80%가 채워진 다음 금형을 닫습니다”라고 Vos는 말했습니다. “그런 다음 재료를 압축하면 마지막 재료가 위로 흘러 벽 두께가 얇아집니다”​   사출하는 동안 벽을 더 두껍게 만든 다음 압축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고 Vos는 덧붙였습니다. “이미 박막 패키징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잘 알려진 기술입니다. 표준 소재를 사용하면 여러 면에서 더 가벼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Vos는 Brink를 팔레타이징을 포함한 전체 자동화 솔루션을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단일 캐비티(면), 다 캐비티 및 스택 금형 제작 회사로 설명했습니다. Brink USA는 덴버에서 북미 지역의 지원 및 서비스 금형을 오픈할 준비가 거의 완료되었습니다.​   Vos는 “우리는 장소를 확보했고 일부 숙련된 직원과 기계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시설이 2023년 12월에 개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정표를 세운 Milacron​   Milacron의 ‘M’은 중간 톤수 범위 및 마일스톤을 의미합니다. Fakuma 2023에서 M 시리즈 사출기를 출시하면서 Ferromatik Milacron GmbH는 이제 새로운 범위의 사출성형기를 제공합니다. Milacron의 2플레이튼 기술의 차세대 제품으로 간주되는 새로운 시리즈는 450~1,100톤 범위를 채우는 반면, eQ 시리즈는 50톤처럼 소형이고 C 시리즈는 1,300~ 4,000톤을 커버합니다.   Fakuma에서는 스크류 직경이 110㎜이고 파트너인 Allit의 금형을 장착한 M650-6610 사출성형기가 935g의 사출 중량을 지닌 소비 후 수지(PCR)로 저장 용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Sepro 로봇(모델 Success 33 TE)이 지속 가능한 부품을 취출합니다. ​   사용 후 폴리프로필렌은 유럽 최대 상품 거래업체 중 하나인 Green Dot에서 제공했습니다. 독일 가정에서는 재활용 가능한 요구르트 컵, 비닐봉지 및 기타 패키징 제품을 큰 노란색 봉투에 담아 Green Dot으로 보냅니다.   Ferromatik Milacron GmbH의 상무이사인 Winfried Stöcklin은 무역 박람회 인터뷰에서 “사용 후 수지(PCR) 중 일부는 내 집에서 가져왔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재료는 무역 박람회 첫날에 약 500개가 나눠진 쌓을 수 있는 파란색 상자로 만들어졌습니다.​   M-시리즈는 Fanuc 서보 모터 유압 시스템으로 구동되며,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대한 다양성과 성능을 제공합니다. Stöcklin은 “우리는 이를 All-Rounder(만능)라고 부릅니다. 맞춤형 성형, 패키징, 컨테이너, 식품 저장 소형 팔레트, 가정용 저장, 자동차, 건설 등 다양한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전 세대의 중형 기계는 더 컸습니다. “이것은 향상된 설치 공간입니다. 공간 효율성이 매우 뛰어납니다”라고 Stöcklin은 덧붙였습니다.   이 시리즈는 특허 출원 중인 기계적으로 동기화된 너트 잠금 설계, 다양한 금형을 수용할 수 있는 넓은 타이바 간격, 더 빠른 금형 교체 및 부품 취출을 위한 파워 게이트를 특징으로 합니다.​   유럽 영업 및 비즈니스 개발 이사인 Peter Kochs는 “그 뒤에 숨은 비밀은 형체력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형체력을 올리는 해프너트의 이중 형판 기술입니다. 그것은 거의 모든 사람에게 고유합니다. 모든 기계 제조업체는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자신만의 철학을 따릅니다”   Milacron의 철학은 마찰 없는 선형 베어링을 사용한 정밀성, 견고한 구조 및 속도를 기반으로 한다고 Stöcklin은 덧붙였습니다. 기계 제작자는 병렬로 작동하도록 상단 및 하단 너트 잠금장치를 동기화했습니다. 너트 잠금장치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사출기 수명 동안 신뢰성과 반복성을 향상시킵니다.​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해 M 시리즈는 드라이 사이클 시간을 줄이고 전력 소비를 줄이며 윤활 요구 사항을 줄였습니다. Stöcklin은 “독일은 현재 에너지, 폐기물 및 지속가능성에 대해 가장 민감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유럽의 거의 모든 가공업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재정적 압박을 느끼고 있습니다. 위기 이전에는 한 고객이 약 50만 파운드를 지불했는데 지금은 200만 파운드로 4배가 넘었습니다.   Milacron은 또한 파트너 부스에 두 대의 사출기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 기계 제조사는 홀 B3, 부스 3115에 있는 GeKu(Hahn Automation) 부스에서 전전동식 eQ50-300을 사용하여 커넥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전동식 eQ 110은 홀 A1 부스 1203의 Sepro Robotique 부스에서 전시됩니다.​   Milacron은 또한 자사의 플라스틱 가공 기계와 시스템을 보완하는 보조 장치와 부품을 제조 및 공급합니다. 이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1,900명의 직원을 두고 자동차, 건설, 의료, 통신, 자재 취급, 패키징 및 기타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장에 날개를 펼친 StorkFAKUMA 2023 전시회 출품을 통해 살펴본 사출성형기 업체 현황 ④-1에서 연재됩니다.    ​  
취재부 2024-06-23
기사제목
- 전기자동차(EV),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 확대로 주목받는 사출성형기- 상품명(영문명, HS코드):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8477.10)상품 개요 및 관세율·인증·수입 규제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는 열을 가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료를 노즐을 통해 두 개의 금형 사이에 주입해 원하는 모양의 제품을 성형·생산하는 기계를 지칭한다. 사출성형기는 HS코드 8477호인 ‘고무나 플라스틱을 가공하거나 이들 재료로 제품을 제조하는 기계(이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에 속하며, 세부적으로는 해당 호의 하위 품목인 8477.10호로 분류된다.일본관세협회에 따르면, 사출성형기가 속하는 HS Code 8477.10호는 무관세가 적용된다. ISO9001 국제 인증이 필요하며, 일본 공업규격인 JISB6701로 형상, 치수, 표기 방법이 정해져 있다. 일본 사출성형기기 생산액 추이일본 사출성형기기의 2022년 국내 생산액은 1,393억9,100만 엔으로 전년 대비 7.1% 감소하였다. 이는 반도체 등 공급 부족으로 인한 국내 자동차 생산 부진, 수출 수요 감소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회사 글로벌 인포메이션에 의하면,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95억 달러로 시작하여 2028년에는 116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특히 이차전지(배터리) 분야에서 “수지 부품”, “금속과 수지의 복합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EV)는 주행거리와 배터리 중량이 비례하기 때문에,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서는 배터리 중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 제동 성능 제고에도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배터리의 금속 부품을 수지 부품으로 대체하거나 금속 및 수지의 복합 부품에 대한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사출성형기 출하 대수  사출성형기 출하 대수는 2021년을 정점으로 거의 모든 톤수의 출하 대수가 감소했지만, 1,000톤 이상이 유일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 60대를 수출하였지만, ’22년에는 119대로 거의 2배 정도 수출이 증가하였다. 대형 사출성형기 메이커 관계자는 “2023년 수출 비중은 많이 줄었지만, 일부의 메이커로부터는 전기 자동차(EV) 관련된 사출성형기의 문의가 많다고 한다. 실제로도 각 사출성형기 메이커는 전기 자동차 부품 관련하여 공장설립 및 신제품 출시를 하고 있다. 사출성형기기 일본 제조사별 동향   일본 주요 사출성형기 제조회사는 약 30개 사가 있으며, 상위 8개 회사가 점유율 66.6%(2017년)를 차지하고 있다. 스미토모중공업, 닛세이수지공업, 화낙, 일본제강소, 우베흥산기계, 시바우라기계, 도요기계금속이 상위 8개 사이다. 그 외에도 니가타머신테크노, 와타야제작소, 마츠다제작소, Sodic, 6SANJO, HISHIYA, KAWAGUCHI 등과 같은 기업이 있다. 한 성형사출기 전문 컨설팅 대표는 인터뷰에서 일본 사출성형기 메이커는 정밀 부품을 성형하는 중·소형기 제조가 강하지만, 최근에는 대형기 제조도 눈에 띈다고 했다. 당분간 경기 침체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수요는 부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자동차, 이차전지용 대형 사출성형기에 대한 출시가 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예컨대, 시바우라 기계는 2023년 10월, 최상위 모델이자 초대형기 3,000톤 클래스의 「EC3000SXIII」를 출시 발표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EV 개발 경쟁이 가속되고 있어 자동차 차체를 경량화하기 위해 대형 수지 부품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닛세이 수지 공업은 2020년에 인수한 이탈리아 최대의 사출성형기 메이커 NEGRI BOSSI와 공동 개발한 사출성형기 3,000톤을 2024년에 출시한다. 주로 자동차 대형 계기판 부품 제조를 위한 대형 사출성형기이다. 아울러, JSW는 전기자동차(EV)용 부품 등의 수요 확대에 대응하여 100억 엔 이상 일본 내 공장설립에 투자를 발표했으며, 2026년 3월부터 가동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동양기계금속은 일본에서 2022년 10억 엔을 투자하여 신공장을 건설했다. 전기자동차가 확대되고 있는 자동차 이차전지 업계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1,000톤급 중형기의 생산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자동차 업계에서는 엔진 부품 등의 성형으로 대형 사출성형기가 필요했으나, 최근 이차전지 수요로의 ECU의 외장, 센서기기 등의 부품에 1,000톤급 성형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수입 동향  일본의 2022년 사출성형기(HS코드 8477 기준) 수입액은 720억4,300만 엔이며,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다.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8.0%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으로부터는 2022년 59억9,800만 엔을 수입하였는데, 전체 수입액 중 8.3%를 차지하는 금액이다. 2019년 이후 한국 수입액 비중은 소폭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외 사출성형기 업체의 일본 내 영업 현황일본 시장에 진출한 해외 사출성형기 회사는 직접 지사를 설립하거나, 일본 상사를 통해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점점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고 판매 이익률이 하락한 점 등으로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사업을 축소해 온 기업들이 많다. 이와는 달리, 중국 하이티엔(Haitian)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하이티엔은 2001년 부도가 난 일본 니가타머신의 지분을 인수했으며, 2017년에는 니가타하이티엔성기 회사를 설립한 바 있다. 현지 전시회 정보 시사점이차전지 분야에서 수지 부품, 금속 및 수지의 복합 부품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뿐만 아니라 관련된 금형, 주변기기 제조회사는 이차전지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기차(EV) 수지 부품의 사용 증가는 지금까지 이상으로 제품 형상이 복잡하여, 3차원 형상과 국소적으로 얇은 성형 제품이 요구된다. 제품 형상이 복잡해지면 금형의 냉각 배관 설계도 더욱 복잡해지므로 성형 기술의 고급 관리가 요구된다. I사 대표는 인터뷰에서 “일본 사출성형기 시장은 가격 경쟁이 치열하여 이익률이 한 자리 숫자에 머물고 있어 단순한 사출성형기 판매로는 시장 확대가 어렵다”라며, “해외 메이커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일부 분야의 고객을 한정하여 그에 맞는 사출성형기를 제안하는 것이 시장 진입 및 확대까지 이어질 수 있다”라고 언급하였다. 자료: 일본 관세청, 재무성, 경제산업성, 일간공업신문, 자료 등 KOTRA 도쿄무역관 의견 및 자료 종합    
취재부 2024-06-23
기사제목
휴먼텍은 이번 KOPLAS 2023 전시회에 사출성형기 부스 및 자사 부스를 통해 가장 많은 취출로봇을 소개했다. 탁월한 성능, 편리한 사용성, 높은 신뢰성을 자랑하는 HUPAC : NX 시리즈는 사이드 앤트리 타입으로 하이 스피드 테이크 아웃 시스템을 자랑하고 있다. 휴먼텍 NX 시리즈는 어떠한 작업 환경, 아무리 복잡한 제품이라도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속도, 안전성, 편의성을 보장한다. 최적의 디자인 노하우, 높은 신뢰성의 전장 구성, 그리고 다양한 사출성형 비즈니스에 대응하는 탁월한 확장성으로 고객의 완벽한 품질 관리와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창의적인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생산성 향상, 균일한 고품질, 높은 경제성을 자랑하는 휴먼텍의 인몰드 라벨링 시스템, HUPAC : IML 시리즈는 사이드 엔트리 로봇, 필름공급기, 적재/컨베잉 시스템, 그리고 비전 시스템 등의 신뢰성 높은 기구 디자인과 성능으로 균일한 고품질의 Cup, Container, Lid, Cap, Blow-molding bottle 생산을 위한 ‘MIL 자동화’+‘비전 검사’의 복합 자동화 공정을 빠르고 정밀하게 구현한다. 또한 휴먼텍 엔지니어는 창의적 경험과 풍부한 노하우로 고객의 패키징 비즈니스에 부합하는 최적의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한다.휴먼텍에서는 이번 전시회에 사출기 메이커와 협업을 통해 수직형 사출성형기에서는 사람이 직접 취출을 하거나, 협동로봇, 다관절 로봇을 사용한다는 인식을 바꿔 수직형 사출기에 일반형 직교 로봇을 공급, 전시했다. 휴먼텍은 스탠다드 직교 로봇인 전축 서보 타입 로봇 HERO 시리즈를 적용함으로써 고객들이 더욱 저렴하게 로봇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수직형 사출성형기에 장착된 직교 로봇은 취출 위주에서 인서트, 게이트 커팅 등 2차 자동화 연계를 위해서 2축을 더해 3축 로봇으로 자유도를 향상, 2차 자동화 연계가 용리하게 하였다. 더불어 휴먼텍은 고객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는 취출 척, EOAT(End Of Arm Tooling)를 다양하고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휴먼텍의 강점은 “고객 맞춤”에 있다. 고객의 니즈를 잘 끌어낼 수 있는 엔지니어 출신 영업사원들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형 현장의 스마트화를 실현해나가고 있다.
이용우 2023-04-09
기사제목
한양로보틱스는 KOPLAS 2023에 최신 신기술이 적용된 다관절 로봇들을 선보였다.비전·트래킹·모션 싱크 로봇한양로보틱스의 자동화용 주행 다관절 로봇 A 시리즈는 로봇 연동 기능을 통해 넓은 범위에서 여러 대의 로봇을 동시에 작업시킬 수 있다. 사출기 1, 2호기에서 뚜껑과 하부 부품이 성형된다면, 취출 이후 다음 공정을 연계, 뚜껑을 잡고 같이 가면서 하부제품과 조립한다. 즉, 양불 검사를 마친 부품이 비전 카메라를 통해 로봇에 전달되면, 전달된 데이터를 활용해서 제품의 모양에 따라 로봇이 쫓아가면서 제품 위치, 방향, 속도에 맞춰 조절해서 제품을 잡아나간다. 또 로봇이 서로 통신을 통해 로봇끼리 연계 작업을 시행한다. 한양로보틱스의 로봇의 경우에는 사출기와 로봇이 함께 사용되는 현장에 갑자기 사람이 나타났을 경우 인체 감지 기능으로 사람을 인식해 로봇이 멈추게 하거나, 또 간혹 노즐이 굳어서 막히면 불로 녹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처럼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곳에 화재감시 장치 기능을 도입, 화재 발생 시 알람을 보낸다. 이러한 기능은 로봇이 굳이 할 일은 아니지만, 한양로보틱스는 고객과의 파트너 개념 하에서 가능한 기술의 범위 내에서 사출 현장에 필요한 기능 및 시스템을 추가하고 있다. 최근 사출성형 현장에서는 직교 로봇의 적용 범위를 벗어나 2차 자동화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해 다관절 로봇의 적용이 늘고 있다. 하지만 다관절 로봇은 다루기가 쉽지 않다. 한양로보틱스는 현장 직원이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했으며, 더 나아가 AI 기능 학습을 통해 음성인식으로 작업 지시가 가능한 AI 음성인식 로봇을 국내 최초로 개발, 전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양로보틱스는 자동화에 필요한 지그 또한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표준화에 성공,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고 있다. 로봇 자동화의 성공 여부는 서보 모터, 에어 실린더 등 기본적이며, 여기에 지그 적용 및 은용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양로보틱스는 직교 로봇에서부터 하이브리드 다관절 로봇 개발에 이어 6축 다관절 로봇까지 순서대로 개발, 성장해왔으며, 이제는 음성지원과 연계 작업 등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해나가고 있다. ‘이제 로봇의 속도, 정확도, 가격은 의미 없다’며, ‘조립 등 2차 자동화를 통해 인력을 줄이고, 다관절 로봇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현장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용우 2023-04-09
기사제목
한국하이티엔은 이번 KOPLAS 2023 전시회에 Haitian drive를 적용한 사출성형기용 XTA 시리즈와 대형 톤수 사출성형기용 XTD 시리즈를 선보였다.Hilectro 시스템은 하이티엔 그룹 내 4대 주력산업의 하나로서 Electric Transmission Industry의 제조업체로 특화한 회사로서, 2010년 세계적인 로봇업체인 일본 Star Robot과 기술 제휴하여 신기술을 연구·발전시켜 왔으며,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올해 안으로 로봇의 종류와 모델명을 대대적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XTA 전축 서보 2배속 시리즈(적용 사출성형기: 60~1,300톤)의 2단 3축(5축) 서보모터 드라이버는 동작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포지셔닝, 제어가 용이하다. 또 고정밀 리니어 가이드는 고속 작동 시 정확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가능케 하고, 내마모성은 수명 연장을 실현하였다. 전후 및 주행 운동은 T형이고, Z축은 Dual-beam 구조로 취출 능력, 안정성, 견고함을 향상시켰으며, Z축은 2단식 디자인으로 사이클타임을 단축했다. 더불어 콤팩트한 디자인, 최적화 및 일체화된 캐비닛으로 공간의 최소화가 강점이다.XTD 전축 전후 구동 서보 시리즈(적용 사출성형기: 700~ 4,500톤)는 프레임식 구조를 벗어나서 동작이 더욱 유연하고 견고하여 적용되는 제품의 범위가 넓어졌다. 상하 Unit은 고강성 알루미늄 재질의 2단 디자인으로, 구조가 콤팩트하고 외관이 수려하며, 일본 SMC 실린더를 적용하여 밀봉성이 좋고, 에어 소모가 작으며 저렴한 A/S 비용, 긴 사용수명 등의 장점이 있다. 더불어 제품 취출 등의 동작 속도를 2배로 하여 사이클타임을 줄여 높은 생산효율이 가능하다.
이용우 2023-04-09
기사제목
에스엠텍은 이번 KOPLAS 2023에 중국 로봇 전문업체인 BORUNTE(보런트)의 AC 서보 주행 로봇과 함께 6축 다관절 산업용 로봇을 선보였다. 특히 에스엠텍에서는 전시 기간동안 다관절 로봇에 농구 골대를 부착, 연속적으로 골을 넣으면 경품을 주는 이벤트도 실시해 많은 참관객의 눈길을 끌었다.보런트는 2008년부터 유럽 엔지니어 기술진을 투입해서 로봇을 설계, 개발했으며, 직교 로봇관 다관절 로봇을 처음부터 같이 생산했다. 더불어 핵심부품을 모두 유럽, 일본 스타일을 적용 제작했으며, 디자인 부분이나 실린더 부분, 소재 하나하나가 유럽 스타일이다.에스엠텍 김현복 대표는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로봇 아이템에 관심이 많아 K, IPF, 차이나 플라스 등 해외 박람회에 많이 참관을 했었다”며, “하지만 독일과 일본 로봇의 가격대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을 것 같았고, 중국 로봇의 성장 속도가 무척 빨라 최종적으로 차이나 플라스 보런트 부스에서 한국총판 계약을 맺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취출로봇은 단순 취출 기능밖에 안 되어 취출기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에스엠텍에서는 ‘취출로봇’이라고 강조한다고. 이는 로봇 반경 안에서 고객들이 원하는 동작 구현이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고객에게 편리성과 활용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스엠텍의 슬로건 자체를 “보런트는 단순한 취출기가 아닙니다. 어떤 동작을 사용할지 몰라서, 모든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라고 정했다. 에스엠텍의 다관절 로봇의 가성비 측면에 강점이 있다. 로봇업계 선두주자 기업들의 기술적인 부분은 평준화되었다. 이에 본사에 어필하여 좋은 가성비를 갖췄다. 더불어 에스엠텍에서는 직원들을 중국 본사에 기술교육을 보내는 한편, 중국의 엔지니어들도 직접 한국을 방문, 정기적으로 교육을 하고 있다. 특히 보런트에는 다관절 로봇의 종류가 다양하다. 로봇의 스트로크와 가반 하중에 따라 라인업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성형업체들은 최근 4차 산업혁명, 스마트 팩토리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 있다. 에스엠텍에서는 단순 취출로봇인데도 불구하고 자유 프로그램을 통해 반조립 등 후가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계 한 대에 작업자 한 명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한사람이 여러 대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에스엠텍은 고객이 필요한 만큼 로봇 구동 반경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무한한 동작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장 로봇 작업자들이 직접 티칭해서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게끔 쉽고 편리하게 개발했다. 이것이 에스엠텍 보런트 로봇의 강점이다.
이용우 2023-04-08
기사제목
이번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었던 2023 제27회 국제플라스틱고무산업전(이하 KOPLAS)에 아비만그룹의 그룹사인 아비만엔지니어링은 사출 공정뿐만 아니라 첨단기술과 로봇, 자동화 분야의 오랜 기술력을 선보였다.특히 이번 코플라스 전시회는 최대 규모의 아비만그룹 부스에서 다양한 테마로 제품군을 소개했다. 그중에서 가장 반응이 좋았던 아비만엔지니어링의 6축 자유도 취출로봇 ART는 국내 취출로봇의 기술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았다. 아비만의 6축 자유도 취출로봇 ART는 선회방향과 툴 회전 자유도에 제약이 없고, 직관적인 직교 취출로봇과 동일하게 위치, 방향의 조작 및 설정이 가능하다.요즘 4차산업으로 가장 핫한 협동로봇과 팔렛타이징/디팔렛타이징의 핵심 기술을 코플라스 전시 현장에서 볼 수 있었다. 3D 비전과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Piece Picking은 마구 섞여 있는 어떤 물체라도 정확하게 집어내어 분류하는 기술로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이번 KOPLAS 전시에서는 관람객과 어린이들에게까지 이해하기 쉽게 로봇이 직접 분류하고 쇼핑백에 포장까지 한 과자를 나눠주는 행사를 진행했다. 또한 이번 코플라스 전시장에서는 보다 사용자에 맞춰져 기존 직교 로봇에서는 불가능했던 동작 자유도를 구현한 고속 고정밀 취출로봇으로 GIGA PLUS가 시연되었다. 직교 취출로봇과 동일한 수동 조작 및 티칭 방식으로 무엇보다 작업자와 사용자의 편리성을 기반하여 제작된 아비만엔지니어링의 취출로봇 GIGA PLUS는 기존 모터보다 가볍고 컴팩트한 구조 1축~4축의 다양한 라인업 구비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아비만 엔지니어링㈜은 사출 공정 최적화 설비의 첨단기술과 로봇, 자동화 분야의 축적된 노하우를 확보하며 뜨거운 열정과 도전 정신으로 고객의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영역을 확장해왔다. 앞으로 더욱 원활한 고객 응대와 해외 시장으로의 적극적인 진출, 글로벌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해나갈 것이다.
이용우 2023-04-08